KEY NOTES for MANAGEMENT: 2022년 10월 뷰티누리트렌드모니터
이충욱 기자 | culee@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2-10-19 06:00 수정 2022-10-19 06:00


순혈주의 no-(A)MORE

오랜 기간 자사 브랜드 육성, 즉 순혈주의 전략을 고수해 오던 아모레퍼시픽그룹이 빗장을 풀었다.  회사는 북미 뷰티시장 공략 박차를 위해 스킨케어 브랜드 타타 하퍼의 운영사 '타타 내츄럴 알케미'의 지분 100%를 인수한다고 2022년 9월 밝혔다.  타타 하퍼와 함께 강도 높은 마케팅 활동을 펼쳐 북미 럭셔리 스킨케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한다는 취지다.  회사의 100% 지분 인수는 지난 2011년 '아닉구딸(현 구딸파리)' 이후 11년만이다.

청년층 이탈

2022년 2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는 3만6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소폭(+0.8%) 증가한 반면 청년층 종사자 수가 8.7% 감소하며 젊은 인력의 이탈 현상이 포착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22년 9월 발표한 관련 자료에 따르면 연령별 보건산업 종사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가 전년동기대비 0.4% 감소했다.  특히 화장품산업 청년층 종사자 수가 보건산업 분야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M커머스 침투율 80%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쇼핑이 크게 활성화되면서 온라인쇼핑에서 모바일이 차지하는 비중(M커머스 침투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2022년 9월 발표한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22년 7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7762억원으로 추정됐다.  이 중 모바일쇼핑이 6078억원으로 M커머스 침투율은 78.3%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23.7%P 증가한 수치다. 

IDFA 비활성

메타, 틱톡의 소셜커머스 사업 확장 철회의 주된 배경으로 애플이 꼽히고 있다.  2022년 9월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의 검색활동 및 앱 이용 기록 등을 추적하는 고유식별자(IDFA)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주들은 맞춤형 광고를 제공해 왔다.  하지만 애플이 iOS 14.5부터 사용자 동의에서만 IDFA를 활성화하면서 업계 전문가들은 IDFA 비활성화로 인해 소셜커머스 확장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고 진단했다. 

HappineZ 온도차

행복한 삶을 위한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한국 Z세대는 소득·재산을 언급한 반면 미국 Z세대는 신체·정신적 건강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오픈서베이가 2022년 9월 발표한 'Z세대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 Z세대가 꼽은 행복한 삶의 필수 요소는 소득·재산(62.7%), 신체·정신적 건강(56.8%), 인간관계·우정(37.7%) 순이었고, 미국 Z세대는 신체·정신적 건강(56.4%), 인간관계·우정(47.1%), 소득·재산(41.2%) 순이었다.

DF Mall in Mall

앞으로 온라인 포털이나 오픈마켓에서도 면세품을 살 수 있게 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에 빠진 국내 면세산업을 살리는 동시에 소비자 편의를 고려한 정부 대책이다.  2022년 9월 관세청은 국내 모든 면세 사업자가 네이버, 쿠팡, 카카오톡 등 모든 온라인 플랫폼에 '몰인몰(mall in mall)' 형태로 입점할 수 있도록 판매 범위를 넓혀 주기로 했다.  또한 시내면세점만 가능하던 온라인 판매를 출입국장 면세점에도 허용한다. 

카톡 Lip 선물하기

코로나와 맞물려 온라인 구매 채널은 올리브영 온라인몰,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성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서베이가 2022년 9월 발표한 '뷰티 카테고리 리포트 2022'는 코로나19 전후 국내 여성 뷰티 소비자를 심층 분석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메이크업 카테고리 중 선케어를 제외한 쿠션·파운데이션, 립, 아이 카테고리에서 2021년 대비 이용률이 상승했으며, 립 제품에서 가장 큰 성장을 보였다.

Qualities Maketh Man

올인원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국내 남성 10명 중 3명(33.7%)은 '효능·효과의 신뢰 부재'라는 품질 이슈를 원인으로 지적했다.  2022년 9월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박초희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팀이 2021년 진행한 관련 설문조사 연구에서 올인원화장품 개선사항으로 품질 향상(35.8%)이 가장 많이 꼽혔다.  올인원 제품의 효능·효과 등 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아진 데 따른 결과다.

인공피부 다양성

화장품 원료 및 제품을 동물실험 없이 검증하는 인공피부의 다양성이 구현됐다.  영국 생명공학기업 랩스킨과 브래드퍼드대학 공동연구팀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실험실 배양 착색 피부를 개발했다고 2022년 9월 밝혔다.  상업적 인공피부 중 멜라닌 세포를 포함하는 모델이 없던 상황에서 연구팀은 "착색 인공피부 모델을 통해 다양한 인종의 피부에 대한 안전성과 효능을 추가로 평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미스 시세이도 →→→ 퍼스널 뷰티 파트너 

일본 시세이도는 2022년 10월 1일부터 매장 판매를 담당하는 자사 뷰티 컨설턴트(BC)의 호칭을 '퍼스널 뷰티 파트너'로 변경한다고 2022년 9월 밝혔다.  시세이도의 퍼스널 뷰티 파트너는 지난 1934년 '미스 시세이도'로 시작됐다.  이후 미스 시세이도는 백화점과 전문점 호황기에는 '미용부원'이라는 명칭으로, 글로벌화 시기에는 뷰티 컨설턴트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이번 호칭변경은 지난 1990년 이후 32년 만에 단행됐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