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잉어는 민물고기의 왕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자양강장 식품의 대명사로 불렸다. 단백질이 풍부해 민간에서는 산모에게 잉어를 고아 먹이는 경우가 많았다. 용으로 불린 최고의 보양음식 과거 중국에서는 잉어를 용(龍)에 버금가는 영물로 여겼다. '등용문(登龍門)'이라는 단어도 잉어와 관련이 깊다. 황하 상류의 용문 지역은 잉어가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려는 잉어들이 모이는 지점으로 유명했는데 용문을 뛰어넘어 산으로 올라가면 용이 된다는 전설까지 만들어졌다. 그 때문에 등용문이라 하면 뜻을 이루고 크게 길하다는 상징을 담게 되었다. 잉어에 관한 이야기는 비단 등용문이란 속담뿐이 아니다. 중국에서는 축하요리에 잉어를 항상 사용하기도 했고 공자 역시 장남을 얻은 후 왕이 잉어를 하사하자 장남의 이름을 잉어라는 뜻의 이(鯉)를 사용해 공리로 지었다. ![]() 질 좋은 단백질과 지질, 비타민B 함유 잉어는 단백질이 매우 풍부한 식품이다. 또 흡수 또한 매우 우수해 회복기의 환자, 임산부, 성장기 어린이들에게는 그야말로 보양 음식이다. 질 좋은 단백질이 많으니 자양강장 효과가 없을 수 없는 셈이다. 과거에는 남성이 잉어탕을 먹으면 용이 된다고 할 정도로 정력음식으로 꼽혔는데 잉어 단백질의 아미노산 구성을 보면 그럴 만도 하다. 잉어 단백질에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들 아미노산은 정자의 구성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단백질만이 잉어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아니다. 잉어에는 지질이 2% 가량 함유되어있고 대부분은 불포화지방산이다. 그 때문에 동맥경화나 고혈압인 사람도 무리 없이 먹을 수 있다. 또 비타민B1이 많아 탄수화물 대사를 촉진하고 에너지를 주게 된다. 쇠약해진 산모에 영양보급 민간에서는 산모가 쇠약해지고 젖이 부족할 때 잉어를 고아 먹이는 경우가 많았다. 잉어의 풍부한 영양성분이 몸을 회복시키고 모유의 양을 늘려줬기 때문이다. 잉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구기자 등을 함께 넣어 은근히 장시간 끓여낸 잉어탕은 산모 회복뿐만 아니라 여성의 냉증 등에도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민물고기인 만큼 기생충 우려는 있으므로 생식은 피하고 익혀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외에서도 영양식품 인식 잉어는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보양식으로 유명한 게 사실이지만 해외에서도 이를 식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미국 등에서도 잉어를 식용으로 사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다만 독특한 향이 있어서 호불호가 갈리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워낙 질 좋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식품으로는 손색없다. |

잉어는 민물고기의 왕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자양강장 식품의 대명사로 불렸다. 단백질이 풍부해 민간에서는 산모에게 잉어를 고아 먹이는 경우가 많았다.
용으로 불린 최고의 보양음식
과거 중국에서는 잉어를 용(龍)에 버금가는 영물로 여겼다. '등용문(登龍門)'이라는 단어도 잉어와 관련이 깊다. 황하 상류의 용문 지역은 잉어가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려는 잉어들이 모이는 지점으로 유명했는데 용문을 뛰어넘어 산으로 올라가면 용이 된다는 전설까지 만들어졌다. 그 때문에 등용문이라 하면 뜻을 이루고 크게 길하다는 상징을 담게 되었다. 잉어에 관한 이야기는 비단 등용문이란 속담뿐이 아니다. 중국에서는 축하요리에 잉어를 항상 사용하기도 했고 공자 역시 장남을 얻은 후 왕이 잉어를 하사하자 장남의 이름을 잉어라는 뜻의 이(鯉)를 사용해 공리로 지었다.

질 좋은 단백질과 지질, 비타민B 함유
잉어는 단백질이 매우 풍부한 식품이다. 또 흡수 또한 매우 우수해 회복기의 환자, 임산부, 성장기 어린이들에게는 그야말로 보양 음식이다. 질 좋은 단백질이 많으니 자양강장 효과가 없을 수 없는 셈이다. 과거에는 남성이 잉어탕을 먹으면 용이 된다고 할 정도로 정력음식으로 꼽혔는데 잉어 단백질의 아미노산 구성을 보면 그럴 만도 하다. 잉어 단백질에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들 아미노산은 정자의 구성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단백질만이 잉어의 가치를 높이는 것은 아니다. 잉어에는 지질이 2% 가량 함유되어있고 대부분은 불포화지방산이다. 그 때문에 동맥경화나 고혈압인 사람도 무리 없이 먹을 수 있다. 또 비타민B1이 많아 탄수화물 대사를 촉진하고 에너지를 주게 된다.
쇠약해진 산모에 영양보급
민간에서는 산모가 쇠약해지고 젖이 부족할 때 잉어를 고아 먹이는 경우가 많았다. 잉어의 풍부한 영양성분이 몸을 회복시키고 모유의 양을 늘려줬기 때문이다. 잉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구기자 등을 함께 넣어 은근히 장시간 끓여낸 잉어탕은 산모 회복뿐만 아니라 여성의 냉증 등에도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민물고기인 만큼 기생충 우려는 있으므로 생식은 피하고 익혀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외에서도 영양식품 인식
잉어는 중국과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보양식으로 유명한 게 사실이지만 해외에서도 이를 식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미국 등에서도 잉어를 식용으로 사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다만 독특한 향이 있어서 호불호가 갈리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워낙 질 좋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식품으로는 손색없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