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육 미래 먹거리로 각광…수출 효자 되나 기후변화 대응 높은 우위, 스타트업 투자도 ‘꿈틀’
방석현 기자 | sj@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2-09-20 06:00 수정 2022-09-20 06:00
과거 ‘콩고기’로 대표되던 대체육이 최근 기술 발달로 실제 고기와 유사한 형태가 등장하면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식물성 고기, 세포 배양육, 식용곤충 등으로 구분되는 대체육은 현재 식물성 고기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 중이다. 2030년을 기점으로 세포 배양육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증가와 함께 공급 불안정 우려가 확대되면서 가치와 윤리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인기가 늘고 있다.
 
우선 대체육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은 타 친환경산업 대비 높은 우위를 지닌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따르면 친환경에 1조 달러를 투자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량은 대체육이 4.4Gt 으로 시멘트의 3배, 빌딩의 7배, 자동차의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업은 산림파괴를 유발하고 다량의 메탄가스 배출이 발생하고 있어 온실 가스(GHG) 배출량이 전 세계 배출량의 15%를 차지하는데 이는 운송 부문과 유사한 수준이다. 대체육이 기존 육류를 대체해 나갈 경우, 산림의 훼손을 막고 가축의 메탄가스 배출을 줄임으로서 온실가스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수의 해외 국가들도 시장을 육성하고 있어 수출 전망도 좋다.
 
지난 6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그린테크 페스티벌(GreenTech Festival)’에서 제과·간식·대체육·비건 치즈·비건 생선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는 베간즈(Veganz)가 참가해 참관객들의 호응을 이끌어냈다. 이 회사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하며 탄소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포장지 사용량 등을 명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품은 유기농으로 생산되며 포장 또한 비료로 사용 가능한 재사용 플라스틱을 사용했고 식품의 환경발자국을 측정하는 기관 Eaternity와 함께 제품의 탄소배출량, 물 사용량, 열대우림 파괴, 동물복지에 대한 정보를 포장지에 표시하고 있다.
 
같은 달 호주에서 열린 굿 푸드&와인 전시회에서도 대체육 전문 기업 V2Food가 참가해 부스 내 조리기구를 설치, 100% 식물성 패티를 조리해 참관객들에게 제공했는데 실제 고기 패티와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 등 호평을 많이 받았다.
 
국내 대체육 시장을 구성해온 기술기반의 중소기업,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급증하고 있다.
 
배양육은 현재 국내 판매가 허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씨위드, 스페이스에프, 다나그린, 티센바이오팜 등이 50억 원 이상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대체육 시장의 성장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므로 해당 시장에서 발생하는 기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며 “대체육 시장의 지속 성장을 위해선 배양육 부문의 안정성 검증과 허가 기준 확립, 심리적 거리감 해소, 축산업계와의 상생 등 선결 과제 검토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