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NOTES for MANAGEMENT: 2020년 10월 발표
양혜인 기자 | hiyang@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0-10-21 05:44 수정 2020-10-21 06:28
키노트_202010.jpg

국제규제조화

대한화장품협회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장품단체 협의체는 현행 제조업자-책임판매업자 의무표시 조항을 '제조업자 자율선택표시' 등으로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2020년 연중 지속적으로 견지하고 있다. 이는 대한화장품협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국제규제조화의 일환이다. 제조원과 판매원을 동시에 의무 표기하는 전세계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고 선진국과 ISO 규정에서는 최종책임자 1개사만 표시한다.

배출방법 중심

환경부는 제품•포장재를 쉽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재질 중심에서 배출방법 중심으로 분리배출표시를 변경한다는 방침을 알렸다. 환경부가 2020년 9월 행정 예고한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분리배출표시에 관한 고시' 제정(안)에 따르면 분리배출표시에서 사용하는 재질명과 배출방법이 함께 표기된다. 아울러 분리배출표시의 표시도안 크기도 확대해 분리배출방법을 보다 쉽게 알 수 있도록 개선한다는 취지다.

ESG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어 머리글자를 합친 말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중시하는 투자를 의미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세계 곳곳의 이상 기후로 환경 보호 및 사회안전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2020년 9월 대한상공회의소 규제혁신팀이 강조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점점 친환경 기조를 강화하고 소비자 역시 과거보다 상생, 공존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

FSC 인증

국제산림관리협의회(Forest Stewardship Council, FSC)가 운영하는 FSC 인증은 산림의 생물 다양성 유지 등 10가지 원칙과 56개 기준을 제시하는 국제인증이다.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종이와 제품에 부여되는 친환경 인증으로 3종의 라벨이 있다. 'FSC 100%'는 제품 내 모든 재료가 FSC 인증을 받은 산림에서 유래, 'FSC Recycled'는 재료의 재활용, 'FSC Mix'는 FSC 인증을 받은 산림 유래와 재활용의 혼합을 의미한다. 

4차 한류

일본 한류는 1차 2004년의 겨울연가 붐, 2차 동방신기, 카라, 소녀시대 등의 K-POP 붐, 3차 소셜미디어 기반의 한류 붐으로 이어져 왔고 최근 4차 한류가 도래했다고 한류나우 2020년 9/10월호가 전했다. 일본의 4차 한류는 드라마와 문학작품 등 한류콘텐츠의 다양성이 눈에 띄며, 인기 요인에 대한 조사를 보면 ‘한국문화의 독특함’을 상위권으로 꼽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매년 21.6% 성장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과 같은 언택트 기반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으로 실상을 구현하고 경험하는 기회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 컨설팅기관 그랜드뷰리서치의 2020년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가상현실(VR) 시장 규모가 2027년까지 미화 62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같은 전망은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연 평균 21.6% 성장 예측에 기인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피부 건강

AHC가 대한민국 성인남녀 3326명 대상 설문을 토대로 2020년 9월 발표한 '2020 대한민국 피부 건강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응답자 과반수 이상이 4가지 이상의 피부 고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종류는 주로 모공, 잡티, 피부 탄력, 피지 등으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문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피부 건강에 대한 고민이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피부 건강 제품에 대한 기대 수준도 높아졌다. 

쟁여두기

국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됐던 2020년 8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의 기간에 CJ올리브영이 자체 즉시배송서비스 주문 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주문 1건당 구매하는 상품 개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면서 생필품뿐만 아니라 화장품에 있어도 미리 구매하는 '쟁여두기' 소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팟패치, 아이라이너 등 일상의 사용빈도가 높은 품목들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쟁여두기 구매성향을 뒷받침했다. 

화장품 상표 85만개

중국 매체 CBO의 2020년 9월 온라인 기사에 따르면 2020년 6월말 기준으로 중국 국가지식산권국(国家知识产权局, CNIPA)이 허가한 누적 화장품 상표출원이 총 85만 7000건으로 파악됐다. 이는 중국에서 상표와 관련한 총 유효 등록 건수의 3%를 차지하는 비중이다. CBO는 중국 화장품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관계 당국의 상표 등록주기와 심사 주기도 크게 단축됐다고 전했다.

샵클루즈

인도의 4대 유력 온라인몰로 알려진 샵클루즈(Shopclues)에 국내 중소중견기업 전용 제품관이 들어섰다. KOTRA는 인도 4대 온라인 유통망 중 하나인 ‘샵클루즈(Shopclues)’와 업무협약을 맺고 한국 중소중견기업 50개사 120개 제품의 현지시장 진출을 지원한다고 2020년 9월 밝혔다. 입점이 확정된 50개사의 주력 품목에 뷰티제품뿐 아니라 친환경 주방세제, 탈모샴푸, 유아용품 등 다양한 생활소비재 제품이 포함됐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