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화장품 관련 기업 76개사(코스피 14, 코스닥 54, 코넥스 1, 외감 7)의 올해 1분기 매출 평균은 93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기 900억원 대비 3.3%, 전년동기 847억원 대비 9.8% 각각 증가했다. ![]() △1분기 매출액 상위 10개사
3위는 한국콜마로 매출은 6531억원이었다. 전기 5905억원 대비 10.6%, 전년동기 5748억원 대비 13.6% 성장했다. 4위는 코스맥스로 588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5580억원 대비 5.5%, 전년동기 5268억원 대비 11.7% 각각 증가했다. 5위는 에이피알이 차지했다. 매출 규모는 2660억원으로 전기 2442억원 대비 8.9%, 전년동기 1489억원 대비 78.6% 성장했다. 6~10위에는실리콘투( 24575억원), 애경산업(1511억원), 콜마비앤에이치(1367억원), 코스메카코리아(1184억원), 파마리서치(1169억원)가 이름을 올렸다. △1분기 매출 전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2위는 엔에프씨. 증가율은 44.8%. 전기 78억원에서 113억원으로 늘었다. 화장품 완제품 매출이 21억원, 화장품 소재 매출인 14억원 각각 늘어나면서 전기 대비 35억원 증가했다. 3위는 실리콘투. 증가율은 41.6%. 전기 1736억원에서 2457억원이 됐다. ㄱ기업고객 부문이 665억원, 풀필먼트 부문이 61억원 각각 늘어나면서 전기보다 721억원 늘었다. 4위는 진코스텍. 증가율은 41.0%. 전기 77억원에서 109억원을 기록했다. 마스크팩 제품 매출이 28억원 증가하면서 전기보다 32억원 늘었다. 5위는 코디. 증가율은 33.8%. 전기 174억원에서 232억원이 됐다. 화장품 부문 매출이 68억원 늘었으나, 용기 부문 매출이 10억원 줄면서 전기보다는 59억원 증가했다. 6~10위는 에코글로우(23.7%), 원익(22.6%), 선진뷰티사이언스(21.5%), 케이엠약(20.1%), 달라글로벌(19.3%)이다. 1분기 76개 화장품 기업 평균 매출은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1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 1분기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가장 큰 기업은 제닉이다. 전년동기 대비 180.2% 성장했다. ODM 매출이 106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64억원에서 178억원이 됐다. 2위는 바이오플러스로 증가율은 139.1%. HA필러제품 매출이 60억원, 화장품 제품 매출이 12억원 각각 증가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96억원에서 230억원이 됐다. 3위는 아스테라시스로 증가율은 90.1%. 전년동기 35억원에서 67억원로 늘었다. 국내 매출 11억원, 해외 매출 20억이 각각 증가한 결과다. 4위는 에이피알. 증가율은 78.6%. 전년동기 1489억원에서 2660억원이 됐다. 화장품 뷰티 부문 매출이 996억원, 뷰티 다비이스 부문 매출이 241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1171억원이 늘었다.위는 바이오플러스. 증가율은 80.0%. 필러제품 58억원, 화장품 제품 23억원이 증가해 전년동기 162억원에서 291억원이 됐다. 5위는 달바글로벌. 증가율은 71.9%. 전년동기 662억원에서 1138억원으로 늘었다. 국내 매출이 50억원, 해외 매출이 426억원 각각 증가한 결과다. 6~10위는에스바이오메딕스(60.7%), 원텍(60.6%), 실리콘투(53.7%), 파마리서치(53.1%), 클래시스(58.3%)다. 1분기 76개 화장품기업의 매출 평균은 전년동기 대비 9.8% 증가했다. |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화장품 관련 기업 76개사(코스피 14, 코스닥 54, 코넥스 1, 외감 7)의 올해 1분기 매출 평균은 93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기 900억원 대비 3.3%, 전년동기 847억원 대비 9.8% 각각 증가했다.

△1분기 매출액 상위 10개사
올해 1분기에도 LG생활건강이 선두자리를 고수했다. 매출은 1조6979억원으로, 전기 1조6099억원 대비 5.5%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1조7287억원보다는 1.8% 역성장했다. 2위는 아모레퍼시픽홀당스로 매출은 1조1648억원이었다. 전기 1조1794억원 대비 1.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1조68억원보다는 15.7% 증가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매출은 6531억원이었다. 전기 5905억원 대비 10.6%, 전년동기 5748억원 대비 13.6% 성장했다. 4위는 코스맥스로 588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5580억원 대비 5.5%, 전년동기 5268억원 대비 11.7% 각각 증가했다. 5위는 에이피알이 차지했다. 매출 규모는 2660억원으로 전기 2442억원 대비 8.9%, 전년동기 1489억원 대비 78.6% 성장했다.
6~10위에는실리콘투( 24575억원), 애경산업(1511억원), 콜마비앤에이치(1367억원), 코스메카코리아(1184억원), 파마리서치(1169억원)가 이름을 올렸다.
△1분기 매출 전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1분기 기준 전기 대비 매출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울트라브이다. 증가율은 45.0%. 화장품 기업 평균 증가율 3.3%의 13배가 넘는 증가율이다. 매출액은 52억원이다. 필러 매출이 11억원 증가하면서 전기 36억원에 5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44억원보다도 18.3% 늘었다.
2위는 엔에프씨. 증가율은 44.8%. 전기 78억원에서 113억원으로 늘었다. 화장품 완제품 매출이 21억원, 화장품 소재 매출인 14억원 각각 늘어나면서 전기 대비 35억원 증가했다.
3위는 실리콘투. 증가율은 41.6%. 전기 1736억원에서 2457억원이 됐다. ㄱ기업고객 부문이 665억원, 풀필먼트 부문이 61억원 각각 늘어나면서 전기보다 721억원 늘었다.
4위는 진코스텍. 증가율은 41.0%. 전기 77억원에서 109억원을 기록했다. 마스크팩 제품 매출이 28억원 증가하면서 전기보다 32억원 늘었다.
5위는 코디. 증가율은 33.8%. 전기 174억원에서 232억원이 됐다. 화장품 부문 매출이 68억원 늘었으나, 용기 부문 매출이 10억원 줄면서 전기보다는 59억원 증가했다.
6~10위는 에코글로우(23.7%), 원익(22.6%), 선진뷰티사이언스(21.5%), 케이엠약(20.1%), 달라글로벌(19.3%)이다. 1분기 76개 화장품 기업 평균 매출은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1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1분기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가장 큰 기업은 제닉이다. 전년동기 대비 180.2% 성장했다. ODM 매출이 106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64억원에서 178억원이 됐다.
2위는 바이오플러스로 증가율은 139.1%. HA필러제품 매출이 60억원, 화장품 제품 매출이 12억원 각각 증가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96억원에서 230억원이 됐다.
3위는 아스테라시스로 증가율은 90.1%. 전년동기 35억원에서 67억원로 늘었다. 국내 매출 11억원, 해외 매출 20억이 각각 증가한 결과다.
4위는 에이피알. 증가율은 78.6%. 전년동기 1489억원에서 2660억원이 됐다. 화장품 뷰티 부문 매출이 996억원, 뷰티 다비이스 부문 매출이 241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1171억원이 늘었다.위는 바이오플러스. 증가율은 80.0%. 필러제품 58억원, 화장품 제품 23억원이 증가해 전년동기 162억원에서 291억원이 됐다.
5위는 달바글로벌. 증가율은 71.9%. 전년동기 662억원에서 1138억원으로 늘었다. 국내 매출이 50억원, 해외 매출이 426억원 각각 증가한 결과다.
6~10위는에스바이오메딕스(60.7%), 원텍(60.6%), 실리콘투(53.7%), 파마리서치(53.1%), 클래시스(58.3%)다. 1분기 76개 화장품기업의 매출 평균은 전년동기 대비 9.8%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