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日 수입 화장품 시장 12분기 연속 1위 佛과 격차 더 벌려… 메이크업·스킨케어 고루 성장
김민혜 기자 | minyang@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5-05-20 06:00 수정 2025-05-20 06:00

K-뷰티가 일본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또 1위를 했다. 12분기 연속이다. 올해 1분기엔 전년 대비 2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며 2위 프랑스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가 최근 발표한 2025년 1분기 화장품 수입 실적에 따르면 K-뷰티는 일본의 전체 화장품 수입에서 32.6%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360억4000만엔(약 3471억원)으로 전년 대비 22.9% 증가했다. 2025년 1분기 일본의 총 화장품 수입 실적이 전년 대비 10.3% 증가한 1104억8000만엔(약 1조630억원)으로, K-뷰티는 더욱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2위 프랑스와는 점유율 격차가 더 커졌다. 1분기 프랑스 제품 수입액은 234억7000만엔(약 2258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프랑스의 점유율은 21.2%로 양국간 점유율 격차는 11.4%로 5.5%p 커졌다.

▲ 한국산 화장품이 2025년 1분기에도 일본 화장품 수입 실적 1위를 차지했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

 K-뷰티는 스킨케어와 컬러 메이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기록했다.

스킨케어·베이스 메이크업 부문 수입액은 전체 490억엔(약 4704억원)으로 전년 대비 10.9% 늘었다. 1위 한국은 전년 대비 16.8% 증가한 217억3000만엔(약 2086억원)으로 점유율 44.3%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41.4%보다 점유율은 2.9%p 늘었다. 2위 프랑스는 전년 대비 6.4% 감소하며 한국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수입액은 113억4000만엔(약 1088억원 )이며, 점유율은 23.2%다. 3위 미국은 1.8% 증가한 47억6000만엔(약 457억원), 4위 중국은 38.7% 증가한 20억6000만엔(약 198억원), 5위 이탈리아는 76.7% 증가한 20억5000만엔(약 196억원)을 기록했다. 중국과 이탈리아가 가파른 성장을 보였으나 수입액은 여전히 한국의 1/10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컬러 메이크업 부문에선 아이 메이크업과 네일 부문은 감소했으나 립 메이크업이 선전했다. 일본의 1분기 컬러 메이크업 화장품 전체 수입액은 182억4000만엔(약 1748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늘었다. 한국은 전년 대비 56.3% 증가한 87억6000만엔(약 839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컬러 메이크업 제품 수입 전체의 절반 수준인 48%에 이른다. 2위 프랑스는 전년 대비 27.3% 감소한 32억3000만엔(약 310억원), 3위 중국은 13.2% 감소한 31억2000만원으로 집계돼 한국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4위 미국은 1.8% 증가한 11억8000만엔(약 113억원), 5위 이탈리아는 47.6% 증가한 11억엔(약 105억원)을 기록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립 메이크업 제품 수입액은 107억5000만엔(약 103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 늘었다. 이 성장은 K-뷰티가 이끌었다. 한국산 립 메이크업 제품 수입액은 68억9000만엔(약 660억원)으로 전년 대비 93.9% 증가했다. 2배에 가까운 성장을 기록한 것. 반면, 2위 프랑스는 28.2% 감소한 21억5000만엔(약 206억원), 3위 중국은 22.8% 감소한 5억7000만엔(약 55억원)을 기록했다.

아이 메이크업은 상위권 국가 모두에서 감소세를 보이며 수입액 자체가 감소했다. 1분기 아이메이크업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11.3% 감소한 54억9000만엔(약 526억원)이다. 1위 한국은 전년 대비 9.3% 감소한 17억 8000만엔(약 171억원)을 기록했다. 2위 중국은 14.9% 감소한 14억1000만엔(약 135억원), 3위 프랑스는 26.3% 감소한 7억2000만엔(약 69억원)이었다. 상위 3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1%에 이른다.

네일 제품류 수입도 전년 대비 7.3% 감소했다. 전체 수입액 19억9000만엔(약 191억원) 중엔 중국 수입액이 11억5000만엔(약 110억원)으로 약 60%에 육박한다. 그러나 수입액은 전년 대비 5% 감소했다. 2위 프랑스는 23.8% 감소한 3억7000만엔(약 35억원)을 기록했다. 미국은 12.4% 증가한 2억엔(약 19억원)을 기록하며 상위권 국가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K-뷰티는 일본 수입시장 내 전반적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서도 향수 및 헤어케어 분야에선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향수 분야에선 여전히 프랑스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향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4% 증가한 117억2000만엔(약 1123억원) 까지 늘었다. 그 중 62.8%인 73억7000만엔(약 706억원)이 프랑스로부터의 수입액이다. 2위 미국도 전년 대비 51.6%의 급성장을 보이며 8억6000만엔(약 82억원)으로 선전했고, 3위는 전년 대비 14.8% 성장한 이탈리아로 수입액은 7억5000만엔(약 72억원)이다.

헤어케어 부문에서 K-뷰티는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체 수입액은 155억5000만엔(약 1491억원)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했다. 샴푸 및 컨디셔너 부문에선 태국이 압도적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태국으로부터의 샴푸 수입액은 전년 대비 7.6% 증가한 24억8000만엔(약 238억원), 컨디셔너는 16.9% 증가한 45억8000만엔(약 440억원)이며, 각각 전체 수입액의 54.2%, 42.2% 수준이다. 2위는 전년 대비 46.6% 증가하며 19억3000만엔(약 185억원)을 기록한 미국이었다.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한 프랑스와 중국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한국은 10억엔 고지를 넘어서며 중국의 뒤를 바짝 뒤쫒고 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