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리퍼블릭은 매출이 감소하면서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발생, 적자 상태다. 전년동기 대비 모든 유통경로별 매출도 역성장했다. ![]()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올해 1분기 네이처리퍼블릭은 23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267억원 대비 11.4%, 전년동기 333억원 대비 29.1% 각각 감소했다. 15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8억원) 및 전년동기(-3000만원)에 이어 적자상태다. 1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18억원의 순손실을 냈던 전기에 이어 적자다. 6억원의 순이익을 냈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233억원으로 전기 262억원 대비 10.9%, 전년동기 327억원 대비 28.6% 각각 역성장했다.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98.6%. 연구개발비는 2억원을 사용했다. 전기 대비 0.9% 늘었으나, 전년동기 3억원 대비 38.1% 줄었다. 비중은 0.9%.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110억원으로 전기 124억원 대비 10.9%, 전년동기 127억원 대비 13.1% 각각 줄었다. 비중은 46.6%. △ 판매경로별 실적![]() 올해 1분기엔 모든 판매경로에서 전년동기 대비 실적이 역성장했다. 감소액이 가장 큰 매출 경로는 비중을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는 국내 오프라인이다. 국내 오프라인의 1분기 매출은 99억원을 기록했다. 전기 118억원 대비 19억원(16%), 전년동기 155억원 대비 56억원(36%)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42%다. 국내 온라인 매출은 27억원으로 전기 25억원 대비 7%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51억원보다는 47% 급감했다. 비중은 12%. 해외 시장에선 11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기 124억원 대비 11%, 전년동기 127억원 대비 13%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47%다. △ 품목별 실적 ![]() 1분기 주요 품목군 중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스킨케어다. 95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전기 124억원 대비 24%, 전년동기 135억원 대비 30% 각각 역성장했다. 팩&마스크 매출도 30억원으로, 전기 32억원 대비 8%, 전년동기 59억원 대비 50% 각각 감소했다. 보디 & 헤어 제품의 매출은 22억원으로 전기 27억원 대비 20%, 전년동기 40억원 대비 46% 각각 줄었다. 클렌징 매출은 16억원으로 전기 15억원 대비 9%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21억원보다는 24% 감소했다. 선케어 제품 매출은 27억원으로 전기 15억원 대비 78%, 전년동기 20억원 대비 36% 각각 증가했다. 포인트 메이크업 매출은 34억원으로 전기 대비 3%, 전년동기 대비 1% 각각 늘었다. |
네이처리퍼블릭은 매출이 감소하면서 영업손실과 순손실이 발생, 적자 상태다. 전년동기 대비 모든 유통경로별 매출도 역성장했다.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올해 1분기 네이처리퍼블릭은 23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267억원 대비 11.4%, 전년동기 333억원 대비 29.1% 각각 감소했다. 15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8억원) 및 전년동기(-3000만원)에 이어 적자상태다. 1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18억원의 순손실을 냈던 전기에 이어 적자다. 6억원의 순이익을 냈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233억원으로 전기 262억원 대비 10.9%, 전년동기 327억원 대비 28.6% 각각 역성장했다.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98.6%. 연구개발비는 2억원을 사용했다. 전기 대비 0.9% 늘었으나, 전년동기 3억원 대비 38.1% 줄었다. 비중은 0.9%.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110억원으로 전기 124억원 대비 10.9%, 전년동기 127억원 대비 13.1% 각각 줄었다. 비중은 46.6%.
△ 판매경로별 실적

올해 1분기엔 모든 판매경로에서 전년동기 대비 실적이 역성장했다.
감소액이 가장 큰 매출 경로는 비중을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는 국내 오프라인이다. 국내 오프라인의 1분기 매출은 99억원을 기록했다. 전기 118억원 대비 19억원(16%), 전년동기 155억원 대비 56억원(36%)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42%다.
국내 온라인 매출은 27억원으로 전기 25억원 대비 7%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51억원보다는 47% 급감했다. 비중은 12%.
해외 시장에선 11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기 124억원 대비 11%, 전년동기 127억원 대비 13%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47%다.
△ 품목별 실적

1분기 주요 품목군 중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스킨케어다. 95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전기 124억원 대비 24%, 전년동기 135억원 대비 30% 각각 역성장했다.
팩&마스크 매출도 30억원으로, 전기 32억원 대비 8%, 전년동기 59억원 대비 50% 각각 감소했다.
보디 & 헤어 제품의 매출은 22억원으로 전기 27억원 대비 20%, 전년동기 40억원 대비 46% 각각 줄었다.
클렌징 매출은 16억원으로 전기 15억원 대비 9%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21억원보다는 24% 감소했다.
선케어 제품 매출은 27억원으로 전기 15억원 대비 78%, 전년동기 20억원 대비 36% 각각 증가했다.
포인트 메이크업 매출은 34억원으로 전기 대비 3%, 전년동기 대비 1% 각각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