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올해 ‘어머니의 날’ 1인당 22.5弗 지출 예정 전년比 5% 증가 31억弗 사용 전망..뷰티‧헬스 상품서 의류까지
이덕규 기자 | abcd@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5-03-24 06:00 수정 2025-03-24 06:00


 

뷰티‧헬스 상품에서부터 의류, 주얼리 및 시계 등에 이르기까지..

오는 3월 30일 ‘어머니의 날’을 앞두고 있는 영국 소비자들이 전년대비 5% 늘어난 24억 파운드(약 31억 달러)를 선물 구입을 위해 지출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처럼 예년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유통기업들은 고급스런 선물을 준비해 높아진 수요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다시 말해 전략적인 마케팅과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상품들을 준비하는 데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주문이다.

영국 런던에 소재한 비즈니스 정보 서비스업체 글로벌데이터(GlobalData)는 17일 공개한 ‘2025년 어머니의 날 소매 소비의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소비자들의 56.4%가 올해 ‘어머니의 날’을 위해 최소한 한가지 상품을 구매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나 전년도에 비해 2.9% 포인트 높아진 수치를 내보였다.

게다가 소비자들은 지난해에 비해 17.43파운드(약 22.56달러) 더 많은 금액을 ‘어머니의 날’을 위해 지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날’을 기념하는 이벤트를 갖거나 선물을 증정하는 데 1인당 평균 125.30파운드(약 162.17달러)를 지출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의미이다.

글로벌데이터의 엘레노어 심슨-굴드 소매유통 담당 애널리스트는 “유통업체들이 엄선한 뷰티 선물세트에서부터 의류, 주얼리에 이르기까지 맞춤 상품들을 선보일 수 있어야 한다”면서 “남다르고 사려깊은 선물을 준비해 매대를 채워놓을 경우 ‘어머니의 날’을 위해 특별한 무언가를 찾고 있는 고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유통업체들은 이와 함께 선물포장 서비스와 편리한 배송대안들을 마련해 고객들이 매끄러운 쇼핑절차를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쇼핑 경험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심슨-굴드 애널리스트는 피력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의 경우 식료품 스토어들이 외식이나 테이크아웃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현실을 배경으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어머니의 날’을 기념하고자 하는 쇼핑객들 가운데 17.5%가 가정에서 모친과 함께 특별한 식사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년도에 비해 3.1% 포인트 높아진 수치를 내보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올해 ‘어머니의 날’에 식사와 음료를 즐기는 이벤트를 위해 1인당 평균 52.32파운드(약 67.71달러)를 지출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슨-굴드 애널리스트는 “영국 소비자들이 올해 ‘어머니의 날’에 특별한 식사를 준비한 가운데 가정에서 모친과 함께 소중한 시간을 갖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식료품 스토어들에게 매력적인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예를 들면 고급스런 와인이나 샴페인, 다과류, 프리미엄 육류 등을 준비하고 고객들이 지갑을 좀 더 활짝 열 수 있도록 유도하면 매출을 극대화하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이밖에도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소비자들의 62.5%가 유통업체들이 영감을 불러 일으키는 상품을 충분하게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동의한 것으로 나타나 뜨금함이 앞서게 했다.

이 같은 정서는 Z세대 소비자들이 다른 어떤 세대에 속하는 소비자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한 심슨-굴드 애널리스트는 “Z세대 소비자들 가운데 50%에 육박하는 이들이 올해 ‘어머니의 날’에 예년보다 더 많은 소비를 계획하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슨-굴드 애널리스트는 “유통업체들이 ‘틱톡’이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핵심적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Z세대 소비자들과 의사소통에 나서야 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가성비 있는 ‘어머니의 날’ 선물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할인이나 컨텐츠 참여를 통해 예산을 크게 의식하고 있는 쇼핑객들을 매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이와 관련, 심슨-굴드 애널리스트는 익일 배송 서비스가 Z세대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Z세대 소비자들의 63.8%가 온라인 유통업체들이 내놓는 상품들을 주시하면서 ‘어머니의 날’ 쇼핑을 마지막 시점까지 늦추는 경향이 눈에 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