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NOTES for MANAGEMENT: 2025년 2월 뷰티누리트렌드모니터
김민혜 기자 | minyang@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5-03-19 06:00 수정 2025-03-19 06:00

모바일 10조

국내 화장품 모바일쇼핑 연간 거래액이 10조원을 돌파했다.  통계청이 2025년 2월 발표한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화장품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0조2045억원으로 전년 9조1592억원보다 11.4% 증가했다.  온라인쇼핑에서 모바일 비중은 2023년 77.1%에서 2024년 81.2%로 4.1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모바일을 포함하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024년 12조5628억원으로 전년 11조8721억원에서 5.5%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3년 연속 1위

K-뷰티가 일본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1위 '굳히기'를 하는 모양새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가 2025년 2월 발표한 2024년 연간 화장품 수입 실적에 따르면 K-뷰티는 일본 전체 화장품 수입에서 30.3%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3년 연속 1위 수성이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342억7000만엔(약 1조2647억원)으로 전년 대비 40% 증가했다.  2위 프랑스 화장품 수입액은 1083억3000만엔으로 점유율은 24.4%다.

 

한한령 해제

중국 정부가 약 8년 만여 한한령을 해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특수를 노리는 여러 업계가 떠들썩했다.  뷰티 업계도 마찬가지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5년 2월 우원식 국회의장과의 면담에서 한중 교류에 대해 긍정적 발언을 한 것에 이어 국내 한 언론은 중국 정부가 오는 5월께 한한령을 전면 해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3월엔 중국 민간 문화사절단이 한국에 파견된다.  2017년 사드 갈등 이후 약 8년 만의 해빙 소식이다.

 

D.I.S.C.O.V.E.R.Y

CJ올리브영이 2025년 뷰티&헬스 트렌드 키워드로 ‘D.I.S.C.O.V.E.R.Y(발견)’를 2025년 2월 선정했다.  △만인의 니즈가 된 혈당관리 △내가 선택하는 럭셔리 △슬로우에이징의 일환이 된 자외선으로 인한 노화 예방 △언더톤 매칭 정밀성에 대한 기대 증대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뷰티 루틴의 등장 △글로벌 고객이 경험하는 K뷰티의 다양성 증대 △소비자에게도 편리한 친환경 △리테일 그 이상의 공간 △티가 나지 않는 깔끔함을 원하는 남성이 포함됐다.

 

감각적 매력

글로벌 트렌드 조사기업 WGSN는 2026년 주요 트렌드로 '감각적 매력'을 2025년 2월 선정했다.  소비자들은 감성적 혜택에 끌리게 될 것이고, 이를 WGSN은 '감각적 매력(Feel Appeal)'으로 정의했다.  앞으로 감각은 제품이 주는 물리적 혜택, 성능과 동등하게 평가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선정 배경으론 △다중 감각의 미래 △위대한 재충전 △감정적 강렬함에 대한 갈망 △놀라움에 대한 욕구 △럭셔리 뷰티의 매력이 꼽혔다.

 

K.E.Y

뷰티 플랫폼 화해는 2025년 뷰티 트렌드 키워드로 'K.E.Y'를 2025년 2월 발표했다.  첫 번째 키워드 ‘K'는 전문지식을 갖춘 소비자(Know-smetics/Knowing + Cosmetics)와 이들의 성분 지식 고도화를 의미한다.  두 번째 키워드 'E'는 쉽게 찾는 나만의 뷰티(Easy Pick)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한 제품 추천의 최적화를 수반한다.  마지막 'Y'는 상대방의 고유함(YOUnique) 발견으로 개인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할 것을 뜻한다.

 

테무 열풍

이커머스 앱 '테무(TEMU)'가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센서타워가 2025년 2월 공개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이커머스 앱 다운로드 순위와 성장률 순위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한 앱은 테무다.  2024년 테무의 글로벌 다운로드 수는 전년 대비 69% 증가한 5억5000만건으로 2위 쉬인(SHEIN)의 2배 이상이다.  2024년 12월 기준 테무의 전 세계 누적 다운로드 수는 9억건에 달했다.

 

둠 스펜딩 (Doom Spending)

미국에서 5명당 1명꼴로 현재 자신이 '둠 스펜딩(Doop Spending)'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둠 스펜딩은 미래에 대한 불안, 지정학적·정치적 위협, 기후위기로 인한 두려움 등 때문에 과도하거나 충동적인 구매를 하는 행동을 이르는 말이다.  미국 신용카드 정보기업 크레디트카드닷컴이 2025년 2월 공개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의 19%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5%), 또는 다소 많은(14%) 양의 상품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아마존

아마존이 유럽의 패션 중심도시에 매장을 오픈하면서 오프라인 유통에 출사표를 던졌다.  아마존은 2025년 2월 이탈리아 밀라노 중심가에 최초 오프라인 헬스앤뷰티(H&B) 매장인 '아마존 파라파마시아&뷰티(Amazon Parapharmacia & Beauty)' 1호점을 공식 오픈했다고 밝혔다.  K-뷰티의 글로벌 진출에 이커머스 플랫폼인 아마존이 큰 역할을 한 만큼, 유럽 진출을 노리는 국내 화장품 기업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K-건기식 9억달러

건강기능식품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25년 2월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건기식)을 포함하는 미분류 조제식품 수출액은 2024년 9억147만달러(1조3100억원)로 전년 8억4728만달러보다 6.3% 증가했다.  업계는 전체 수출액에서 건기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 0.14% 수준에서 10년 후에는 1.5%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건기식 수출액이 2035년에는 5조원 규모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