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오르면 K-뷰티뿐 아니라 글로벌 뷰티 산업도 타격" K-브랜드는 가격 경쟁력 하락·공급망 혼선 등 리스크
박수연 기자 | waterkite@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5-03-11 06:00 수정 2025-03-11 10:09

미국의 관세가 인상될 경우 K-뷰티 업계는 물론 글로벌 뷰티 산업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현지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K-뷰티 '혁신'의 유입이 늦춰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공격이 점차 한국을 향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평균 관세가 중국의 관세보다 4배 높다"고 말하며 무역 분쟁을 예고했다. 참고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다.

미국 현지 뷰티 전문 매체 뷰티매터(BEAUTY MATTER)는 10일, 관세 정책으로 인해 K-뷰티가 직면한 문제점들에 대해 현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한국과 미국의 무역 갈등은 다양한 산업에 파장을 일으켰으며, 특히 K-뷰티 분야가 분쟁의 중심에 있다"면서 "이 분쟁은 K-뷰티를 넘어 소비자 행동, 글로벌 경쟁, 뷰티 산업 내 전략적 포지셔닝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K-뷰티는 현재 울타뷰티(Ulta Beauty), 타깃(Target) 등 미국의 주요 유통 채널에서 전용 구역이 만들어질 정도로 미국 시장에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 랜딩 인터내셔널(Landing International)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이 수입한 한국 화장품은 12억 달러로, 2020년 대비 두 배로 뛰었다. K-뷰티는 지난해 상반기 미국의 수입화장품 시장 점유율도 약 20%를 차지하며 유럽의 고급 브랜드를 앞질렀다.

신문은 K-뷰티의 매력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고급 스킨케어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고 평가하며, "관세 부과로 인한 제품 가격 인상은 K-뷰티의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지며,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가 불리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그 여파가 도매가 인상으로 연결되면 울타 뷰티, 아마존 및 백화점 등의 주요 리테일러는 K-뷰티 구역을 축소하고 관세 영향이 적은 유럽의 화장품으로 품목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공급망 혼선으로 인한 리스크도 언급됐다. 이미 많은 K-뷰티 브랜드가 원자재 조달, 제조, 유통을 위해 복잡한 글로벌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는데, 관세 문제로 제조국을 옮길 경우 제품 품질, 일관성 및 가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

글로벌 공급망 전문가 킴벌리 로이터(Kimberly Reuter)는 인터뷰를 통해 "관세로 인해 제품 가격이 책정되는 시장에 노력을 집중할 이유가 없다. 미국 시장이 아닌 다른 시장으로 마케팅 및 제품 개발 방향을 전환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며 K-뷰티 브랜드들이 관세 장벽이 덜한 새로운 시장을 물색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신문은 K-뷰티의 타격이 결국 전체 뷰티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기도 했다. K-뷰티의 핵심은 고급 제형, 고성능 성분, 트렌디함으로 대표되는 '혁신'인데, 관세가 한국의 수출을 억제한다면 전체 뷰티 산업이 혁신 측면에서 침체될 위기가 있다는 우려다. 이미 글로벌 뷰티 브랜드들은 한국을 R&D 허브로 보고 있으며, 관세가 전 세계적 제품 개발 주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도 분석했다.

한편, 업계의 우려와는 달리 관세 부과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관계자도 있었다. 한국의 뷰티 제품을 미국 등에 독점 공급하는 유통업체 블룸케어(Bloomkare)의 영업이사 앨리슨 트릭(Aliosn Tryk)은 "한미 FTA가 발효 중이기 때문에 한국산 수입품엔 무관세가 유지될 수 있다"며 “한국 정부가 화장품 연구 개발에 상당히 투자하고 있고 세금 감면 혜택 등이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관세가 K-뷰티에 재앙이 되진 않을 것”으로 봤다.

스킨케어 브랜드 Then I Met You의 대표이며 K-뷰티 이커머스 업체 소코글램(SokoGlam)의 공동 창립자 샬럿 조(Charlotte Cho) 역시 한미 FTA를 근거로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K-뷰티 제품의 원자재는 전 세계에서 조달되므로 공급망에도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며 "만약 관세 정책이 발효된다 해도 미국의 제조원가가 한국보다 더 높기 때문에, 제조공장을 굳이 바꿀 필요도 없다"면서 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문은 무역 분쟁의 향방이 여전히 불확실하고, 트럼프의 정치적 수사가 구체적으로 실현될지는 실제 정책 결정을 기다려 봐야 안다며, K-뷰티 관련 기업들이 리스크 완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고 짚었다.

킴벌리 로이터는 무역 규제를 우회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해외에 공장을 둔 제조업체가 한국 제품을 수입해 관세를 납부하고, 브랜드는 그 조건에 단가를 맞추는 방식이 있다"며 미국 기반 생산 시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하라고 제언했다. K-뷰티 매출 비중이 큰 소매업체는 관세 면제를 위한 로비에 힘쓰라고도 말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