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관세 부과 소비재 가격인상 부메랑 될 수도” 美 소비자브랜드協, 트럼프 정부 무역정책에 입장문
이덕규 기자 | abcd@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5-02-10 06:00 수정 2025-02-10 06:00


 

“미국에서 고용을 기준으로 할 때 최대의 국내 제조업 부문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일용소비재(CPG: consumer pakcaged goods) 산업은 총 2,200만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데다 국내총생산(GDP)에서 2조5,000억 달러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미국 내 소비재 기업을 대표하는 무역단체로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본부를 두고 있는 소비자브랜드협회(CBA)가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려는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과 관련, 1일 톰 마드레키 공급사슬 담당부회장 명의로 입장문을 발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날 공개된 입장문은 일용소비재 업계에 총 2,230만여명이 재직 중이어서 미국 내 전체 고용의 10.5%를 점유하고 있는 데다 1조5,000억 달러의 근로소득을 창출하고 있고, 미국 전체 GDP에서 10%에 육박하는 몫을 차지하고 있음을 상기할 때 주목할 만한 것이다.

입장문에서 마드레키 부회장은 “일용소비재 업계가 미국 내 고용을 보호할 뿐 아니라 식‧음료, 가정용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들의 경쟁력과 접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취지를 두고 있는 ‘미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을 전략적으로 지지한다”고 운을 뗐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 자체적으로 충당될 수 없는 원료와 투자(input)를 포함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유입되는 전체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은 자칫 소비재 가격의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국의 수출기업들에 대한 보복조치를 촉발시킬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마드레키 부회장은 깊은 우려감을 드러내 보였다.

그는 뒤이어 “대다수의 원료와 투자가 미국 내 농업계와 토종기업들에 의해 조달되고 있지만, 소비재 기업들은 현실적인 갖가지 여건과 제한성으로 인해 전체적인 공급사슬에서 일부를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캐나다와 멕시코의 정계‧재계 리더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하게 협력해 가성비 높은 상품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계속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식료품 및 잡화류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관세가 부가되는 일이 없도록 힘을 기울여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마드레키 부회장은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정부는 2월부터 캐나다와 멕시코로 유입되는 수입품들에 25%의 관세를 부과키로 했다가 한달 동안 유예키로 결정한 상태이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