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중국판 틱톡 '더우인(抖音)'은 지속적 매출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더우인의 이커머스 판매액은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경신했다. 중국의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 플랫폼 찬마마(蝉妈妈)는 최근 발표한 '2024 더우인 전자상거래 연간 보고서'에서 "경쟁이 치열해진 이커머스 시장에서 더우인은 주도적으로 변화를 추구해 경쟁에서 두각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2024년 더우인 플랫폼 내 판매 브랜드 수와 점포수가 모두 증가했다. 또한, 억(위안)대 매출을 기록한 브랜드는 전년 대비 41% 늘었으며, 억대 매출을 기록한 스토어 수 또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특히 스킨케어 등 뷰티 부문은 수요가 크고 소비 빈도가 높은 브랜드가 다수 포진한 산업 부문으로 지목됐다. 더우인 커머스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2023년부터는 대규모 프로모션이 매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도 춘절 쇼핑 시즌에 새로운 매출 기록이 탄생했으며, 연말 쇼핑 시즌에 다시 경신됐다. ![]() 더우인에서 대부분(75%)의 이커머스 매출은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발생하지만, 상품 카드(商品卡) 게시물을 통한 유입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상품카드 매출은 전체 매출의 22%로 전년 동기 대비 9%p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118% 늘었다. 더우인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분야는 의류·속옷이며 식음료와 스킨케어·메이크업이 각각 2·3위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성장률이 가장 돋보이는 분야는 사치품, 아웃도어, 반려동물 용품 등이다. 보고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가 시장 발전을 이끌어가고 있는 와중에 특히 건강과 자기 만족을 추구하는 특징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선호 현상도 강하게 나타났다. 2024년 더우인 내 브랜드 공식 스토어 매출 비중은 31%, 플래그십 스토어 매출 비중은 32%로 거래 비중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의약품, 화장품 등 전문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제품군 또는 가격대가 높은 사치재를 구매할 때는 특히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해 신뢰를 확보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글로벌 뷰티 브랜드의 경우 매출과 객단가가 모두 늘었다. 더우인에서 글로벌 뷰티 브랜드 제품을 찾는 고객은 고급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메이크업 세트, 쿠션, 립스틱 등이 대표적 인기 품목으로 꼽힌다. 특히 발렌타인데이, 성년의 날, 칠석, 광군제 등의 기간에 고액의 메이크업 세트 판매량이 급증했다. 선물세트는 브랜드의 대표 제품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한정판 디자인 등으로도 고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샘플 증정이나 1+1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브랜드들도 높은 성과를 거뒀다. 일부 브랜드는 사은품 증정을 통해 대표제품 외의 제품에 대한 노출을 높인다는 전략을 선택하기도 했다. 더우인은 라이브커머스가 중심이 되는 플랫폼인만큼 영상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서도 성과가 크게 좌우된다. 보고서는 '브랜드의 정체성에 맞는 방송'을 강조한다. 뷰티 브랜드의 경우 고급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선 진행자 선정은 물론 어투, 배경에도 신경을 써서 시각적·감정적으로 소비자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 제품의 이미지 부각과 현실감 있는 사용 장면 연출을 위해 채널을 2개로 분리해 송출한 브랜드의 사례가 소개되기도 했다. 오프라인 이벤트와의 연계도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로 언급됐다. 2024년 중국 뷰티 시장에선 '야광얼룩말(夜光斑马)' 트렌드가 인기를 끌기도 했는데, 일부 브랜드는 이 콘셉트로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열고 유명인들을 초대해 언급량을 크게 늘렸다. 보고서는 "온라인 광고를 통한 신규 고객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온·오프 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마케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중국판 틱톡 '더우인(抖音)'은 지속적 매출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더우인의 이커머스 판매액은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경신했다.
중국의 이커머스 데이터 분석 플랫폼 찬마마(蝉妈妈)는 최근 발표한 '2024 더우인 전자상거래 연간 보고서'에서 "경쟁이 치열해진 이커머스 시장에서 더우인은 주도적으로 변화를 추구해 경쟁에서 두각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2024년 더우인 플랫폼 내 판매 브랜드 수와 점포수가 모두 증가했다. 또한, 억(위안)대 매출을 기록한 브랜드는 전년 대비 41% 늘었으며, 억대 매출을 기록한 스토어 수 또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특히 스킨케어 등 뷰티 부문은 수요가 크고 소비 빈도가 높은 브랜드가 다수 포진한 산업 부문으로 지목됐다.
더우인 커머스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2023년부터는 대규모 프로모션이 매출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도 춘절 쇼핑 시즌에 새로운 매출 기록이 탄생했으며, 연말 쇼핑 시즌에 다시 경신됐다.

더우인에서 대부분(75%)의 이커머스 매출은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발생하지만, 상품 카드(商品卡) 게시물을 통한 유입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상품카드 매출은 전체 매출의 22%로 전년 동기 대비 9%p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118% 늘었다.
더우인 이커머스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분야는 의류·속옷이며 식음료와 스킨케어·메이크업이 각각 2·3위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성장률이 가장 돋보이는 분야는 사치품, 아웃도어, 반려동물 용품 등이다. 보고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가 시장 발전을 이끌어가고 있는 와중에 특히 건강과 자기 만족을 추구하는 특징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선호 현상도 강하게 나타났다. 2024년 더우인 내 브랜드 공식 스토어 매출 비중은 31%, 플래그십 스토어 매출 비중은 32%로 거래 비중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 분석에 따르면 의약품, 화장품 등 전문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제품군 또는 가격대가 높은 사치재를 구매할 때는 특히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해 신뢰를 확보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글로벌 뷰티 브랜드의 경우 매출과 객단가가 모두 늘었다. 더우인에서 글로벌 뷰티 브랜드 제품을 찾는 고객은 고급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메이크업 세트, 쿠션, 립스틱 등이 대표적 인기 품목으로 꼽힌다. 특히 발렌타인데이, 성년의 날, 칠석, 광군제 등의 기간에 고액의 메이크업 세트 판매량이 급증했다.
선물세트는 브랜드의 대표 제품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한정판 디자인 등으로도 고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샘플 증정이나 1+1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브랜드들도 높은 성과를 거뒀다. 일부 브랜드는 사은품 증정을 통해 대표제품 외의 제품에 대한 노출을 높인다는 전략을 선택하기도 했다.
더우인은 라이브커머스가 중심이 되는 플랫폼인만큼 영상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서도 성과가 크게 좌우된다. 보고서는 '브랜드의 정체성에 맞는 방송'을 강조한다. 뷰티 브랜드의 경우 고급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선 진행자 선정은 물론 어투, 배경에도 신경을 써서 시각적·감정적으로 소비자를 만족시켜야 한다는 것. 제품의 이미지 부각과 현실감 있는 사용 장면 연출을 위해 채널을 2개로 분리해 송출한 브랜드의 사례가 소개되기도 했다.
오프라인 이벤트와의 연계도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로 언급됐다. 2024년 중국 뷰티 시장에선 '야광얼룩말(夜光斑马)' 트렌드가 인기를 끌기도 했는데, 일부 브랜드는 이 콘셉트로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열고 유명인들을 초대해 언급량을 크게 늘렸다. 보고서는 "온라인 광고를 통한 신규 고객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만큼 온·오프 라인을 아우르는 통합 마케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