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3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클리오의 지난해 매출은 3306억원으로 전년 2725억원 대비 21.3%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338억원을 기록, 전년 179억원 대비 89.1% 증가했다. 순이익은 273억원으로 전년 101억원 대비 169.7% 증가했다. 상품매출은 3240억원으로 전년 2629억원 대비 23.2% 증가했다. 전체 매출액 대비 비중은 98.0%다. 연구개발비로는 58억원을 지출해 전년 49억원 대비 17.2% 늘었다. 비중은 1.8%다. 해외 매출 및 수출은 1186억원으로 전년 1005억원 대비 18.1% 증가했다. 비중은 35.9%다. 4분기의 경우 매출은 897억원으로 전기 848억원 대비 5.8%, 전년동기 724억원 대비 23.9%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16억원으로 전기 105억원 대비 10.6%, 전년동기 52억원 대비 123.0% 늘었다. 순이익은 65억원으로 전기 97억원에 비해선 33.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32억원 보다는 101.2% 증가했다. 상품매출은 881억원으로 전기 834억원 대비 5.6%, 전년동기 695억원 대비 26.8% 각각 늘었다. 비중은 98.2%다. 연구개발비로는 매출의 2.2% 수준인 20억원을 지출했다. 해외 매출 및 수출은 338억원으로 전기 319억원 대비 5.9%, 전년동기 230억원 대비 46.9% 각각 증가했다. ![]() 품목군별 2023년 매출을 살펴보면 주요 4개 부문 비중이 고르게 높은 편이었다. 누적 매출이 가장 큰 품목은 스킨케어 베이직으로 누적 891억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전년 531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매출 비중은 27%다. 포인트메이크업 립은 전년동기 444억원 대비 43% 증가한 637억원의 매출로 19%의 비중을 차지했다. 포인트메이크업 아이 부문은 주요 부문 중 유일하게 전년 대비 매출 감소가 발생했다. 이 부문 누적 매출은 883억원으로 전년도 978억원 대비 10% 감소했다. 비중은 27%다. 베이스 메이크업은 전년도 716억원 대비 17% 증가한 83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매출 비중은 25%다. 4분기에도 스킨케어 베이직 부문 매출이 가장 높았다. 스킨케어 베이직 부문 4분기 매출은 253억원으로 3분기 259억원 보다는 2%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134억원과 비교하면 90%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포인트 메이크업 립 부문 4분기 매출은 194억원으로 전분기 158억원 대비 23%, 전년 동기 69억원 대비 180% 늘었다. 포인트 메이크업 아이 부문은 22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분기 204억원 대비 10%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301억원에 비해선 25% 감소한 실적이다. 베이스 메이크업 부문에선 207억원의 분기 매출이 발생했다. 전분기 211억원 보다는 2%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178억원에 비해선 16% 상승했다. |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3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클리오의 지난해 매출은 3306억원으로 전년 2725억원 대비 21.3%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338억원을 기록, 전년 179억원 대비 89.1% 증가했다. 순이익은 273억원으로 전년 101억원 대비 169.7% 증가했다.
상품매출은 3240억원으로 전년 2629억원 대비 23.2% 증가했다. 전체 매출액 대비 비중은 98.0%다. 연구개발비로는 58억원을 지출해 전년 49억원 대비 17.2% 늘었다. 비중은 1.8%다. 해외 매출 및 수출은 1186억원으로 전년 1005억원 대비 18.1% 증가했다. 비중은 35.9%다.
4분기의 경우 매출은 897억원으로 전기 848억원 대비 5.8%, 전년동기 724억원 대비 23.9%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16억원으로 전기 105억원 대비 10.6%, 전년동기 52억원 대비 123.0% 늘었다. 순이익은 65억원으로 전기 97억원에 비해선 33.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32억원 보다는 101.2% 증가했다.
상품매출은 881억원으로 전기 834억원 대비 5.6%, 전년동기 695억원 대비 26.8% 각각 늘었다. 비중은 98.2%다. 연구개발비로는 매출의 2.2% 수준인 20억원을 지출했다. 해외 매출 및 수출은 338억원으로 전기 319억원 대비 5.9%, 전년동기 230억원 대비 46.9% 각각 증가했다.

품목군별 2023년 매출을 살펴보면 주요 4개 부문 비중이 고르게 높은 편이었다. 누적 매출이 가장 큰 품목은 스킨케어 베이직으로 누적 891억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전년 531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매출 비중은 27%다. 포인트메이크업 립은 전년동기 444억원 대비 43% 증가한 637억원의 매출로 19%의 비중을 차지했다. 포인트메이크업 아이 부문은 주요 부문 중 유일하게 전년 대비 매출 감소가 발생했다. 이 부문 누적 매출은 883억원으로 전년도 978억원 대비 10% 감소했다. 비중은 27%다. 베이스 메이크업은 전년도 716억원 대비 17% 증가한 83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매출 비중은 25%다.
4분기에도 스킨케어 베이직 부문 매출이 가장 높았다. 스킨케어 베이직 부문 4분기 매출은 253억원으로 3분기 259억원 보다는 2%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134억원과 비교하면 90%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포인트 메이크업 립 부문 4분기 매출은 194억원으로 전분기 158억원 대비 23%, 전년 동기 69억원 대비 180% 늘었다. 포인트 메이크업 아이 부문은 22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분기 204억원 대비 10%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301억원에 비해선 25% 감소한 실적이다. 베이스 메이크업 부문에선 207억원의 분기 매출이 발생했다. 전분기 211억원 보다는 2%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178억원에 비해선 16%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