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화장품 시장 현재와 미래 <1> 새로운 중국 시장Ⅰ 지난 2월 한달간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대륙)이 드디어 30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단체관광 금지가 해제되면서 방한하는 중국인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한국은 중국 여성들에게 매력적인 국가인 것은 분명하다. 사드 문제로 한국 단체관광을 금지하기 이전엔 방한하는 중국인들의 한국화장품 구매력은 상당히 컸다. 서울 각 면세점,특히 인천공항 출국장 게이트마다 출국하는 중국 여성들 캐리어에는 화장품이 가득했다. 특히, 한국 여행에서 화장품을 구입해 재판매함으로써 개인적 소득을 올리는 장사가 가능했던 시기여서 ‘큰손’들이 많았다. 당시 면세점의 가장 큰 고객은 중국 관광객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이전같이 대량 구매하는 중국 관광객은 상대적으로 적어졌다. 앞으로 한국 방문 소비와 구매 상품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정말 기대가 된다. 필자의 예상으로 올해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은 약 350만명을 넘고, 2025년에는약 500만명이 될 것이다. 어떤 나라를 많이 찾는 것은 그 나라에 대한 호감과 호기심이 크다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호기심이 호감으로 변하면서 만족감을 갖고, 개인적 비지니스 계기를 찾으려는 많은 중국 방문객이 들어오고 있다. 중국인은 단순 관광보다는 항상 비즈니스를 우선시하는 민족이다. 물론 화장품 관련자들의 방문 역시 많을 것이다. 상품을 판매하는 화장품 왕홍들이 한국에서 라이브 판매 방송을 하고 제품 배송은 중국 내에서 진행될 것이다. 한국에서 방송하는 이유는 상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화장품 회사의 본사, 면세점, 판매 매장, 연구소, 생산라인 모두 라이브 판매 방송의 배경이 될 수 있는 곳들이다. 발빠르게 움직이는 회사들은 이미 시작하고 있다. 이번 6회를 끝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마무리 한다. 중국 매출을 늘릴 수 있는 핵심 사항을 다시 종합하여 제안한다. 첫째, 중국 2045 여성에 집중하자. 둘째, 당장 중국 화장품 위생허가증을 신청하자. 셋째, 우리 브랜드에 정확하게 맞는 판매 채널을 선정하자. 넷째, 핵심 판매 채널이 있는 곳에 중국 진지를 구축하자. 다섯째, 한국 방문 왕홍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해 마케팅을 하자. |
중국 화장품 시장 현재와 미래
<1> 새로운 중국 시장Ⅰ
<2> 새로운 중국 시장Ⅱ
<3> 중국 소비자 분석
<4> 상품 구성 방향
<5> 온·오프라인 거래처 개발
<6> 한국 방문하는 중국인의 의미
지난 2월 한달간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대륙)이 드디어 30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단체관광 금지가 해제되면서 방한하는 중국인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한국은 중국 여성들에게 매력적인 국가인 것은 분명하다. 사드 문제로 한국 단체관광을 금지하기 이전엔 방한하는 중국인들의 한국화장품 구매력은 상당히 컸다. 서울 각 면세점,특히 인천공항 출국장 게이트마다 출국하는 중국 여성들 캐리어에는 화장품이 가득했다. 특히, 한국 여행에서 화장품을 구입해 재판매함으로써 개인적 소득을 올리는 장사가 가능했던 시기여서 ‘큰손’들이 많았다. 당시 면세점의 가장 큰 고객은 중국 관광객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이전같이 대량 구매하는 중국 관광객은 상대적으로 적어졌다. 앞으로 한국 방문 소비와 구매 상품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 정말 기대가 된다.
필자의 예상으로 올해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은 약 350만명을 넘고, 2025년에는약 500만명이 될 것이다. 어떤 나라를 많이 찾는 것은 그 나라에 대한 호감과 호기심이 크다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호기심이 호감으로 변하면서 만족감을 갖고, 개인적 비지니스 계기를 찾으려는 많은 중국 방문객이 들어오고 있다. 중국인은 단순 관광보다는 항상 비즈니스를 우선시하는 민족이다.
물론 화장품 관련자들의 방문 역시 많을 것이다. 상품을 판매하는 화장품 왕홍들이 한국에서 라이브 판매 방송을 하고 제품 배송은 중국 내에서 진행될 것이다. 한국에서 방송하는 이유는 상품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화장품 회사의 본사, 면세점, 판매 매장, 연구소, 생산라인 모두 라이브 판매 방송의 배경이 될 수 있는 곳들이다. 발빠르게 움직이는 회사들은 이미 시작하고 있다.
이번 6회를 끝으로 ‘중국 화장품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마무리 한다. 중국 매출을 늘릴 수 있는 핵심 사항을 다시 종합하여 제안한다.
첫째, 중국 2045 여성에 집중하자.
약 20년 넘게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의 주 고객은 중국 내 여성들이었다. 한국 화장품 업계에 있는 분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대부분 주제는 한중간 정치 이슈에 집중돼 있다. 막상 2045 여성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 않았다. 앞으로는 중국 2045 여성 고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좀 더 관찰하고 분석하자. 그들의 관심과 호기심에 좀 더 집중하자. 그들이 한국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한국의 어느 부분에 관심과 호기심을 갖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한국에 대해 이미 어느정도 이해와 체험을 한 3045세대와 한국을 아직 체험하지 못한 20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3회 칼럼 참조)
둘째, 당장 중국 화장품 위생허가증을 신청하자.
중국 시장은 누구나 아는 것처럼 한국 화장품 회사들에게는 가장 근접성이 좋고 매출 가능성이 높은 나라이다. 필자는 중국 위생허가증을 마라톤을 할 때 가장 기본인 신발에 비유한다. 마라톤을 뛰는데 최소한 신발은 신고 뛰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사드 이슈와 코로나19 기간에 중국 매출이 많이 떨어져서인지 한국 화장품들의 신제품 위생허가 신청이 적은 상태이다. 위생허가증이 있어야 정상적 수출이 가능하다. 라이브 판매가 강세인 지금은 품목 수가 적어도 중국 라이브 판매 방송으로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시기이다. 시판 시장이 강세일 때는 최소 30개 품목과 매대를 제공하여야 했지만, 지금은 10개 정도의 품목으로도 매출을 크게 낼 수 있다.
셋째, 우리 브랜드에 정확하게 맞는 판매 채널을 선정하자.
우리 브랜드와 메인 제품의 주 타깃인 소비자를 정하고, 이에 맞는 판매 채널을 선정해 집중하자. 天猫,淘宝,抖音,快手,京东,微信,考拉,拼多多 등 많은 라이브 판매 채널 중 우리 타깃층은 어느 채널에 적합한지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브랜드별 역량과 상품별 콘셉트가 다르기에 우리에 맞는 판매 채널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넷째, 핵심 판매 채널이 있는 곳에 중국 진지를 구축하자.
대부분의 중국 지사는 상해에 있다. 하지만, 상해에서 판매하는 브랜드는 적은 것이 현실이다. 상해 백화점은 세계 명품들이 모두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우리나라 몇몇 브랜드 빼고 상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란 매우 힘들다. 결국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역량 안에서 매출을 올리기 위해선 경쟁력이 있는 곳에 진지를 구축해야 한다. 그래야 그곳에서 파트너 회사들과 자주 만나고 빠른 판단을 할 수 있다. 중국 지사 설립을 계획하는 기업은 주 판매 채널이 있는 곳을 선택하길 바란다. 그래야 빠른 정보를 얻고, 지속적 성장을 할 수 있다.
다섯째, 한국 방문 왕홍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해 마케팅을 하자.
앞으로 한국 브랜드를 판매하는 중국 왕홍들이 더욱 많이 한국을 방문할 것이다. 또한 잠재적 신규 왕홍들도 한국을 찾을 것이다. 중국 마케팅 코드에는 불신(不信)과 군중심리(跟风)가 있다(1회 칼럼 참조). 한국 화장품을 라이브 판매할 때 한국에서 방송하는 것이 신뢰를 강화할 수 있다. 이 점을 한국 브랜드 회사에서 적극 활용하면 중국 매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각 면세점에서, 백화점, 명동 매장 등에서 라이브 판매를 하는 많은 중국 왕홍들의 모습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