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일본 내 K뷰티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특히 온라인에서 메이크업 제품과 보디워시의 인기가 높다. 3일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립메이크업 판매량 1~5위 모두 한국 브랜드가 차지했다. 1위는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 2위는 ‘롬앤 산리오 듀이플 워터 틴트’로 조사됐다. 3~5위에는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 ‘페리페라 틴트 립’, ‘힌스 무드인핸서 워터 리퀴드 글로우’가 올랐다. 2위를 차지한 ‘롬앤 산리오 듀이플 워터 틴트’는 쉽게 마르지 않는 보습 유지 틴트로, 산리오의 인기 캐릭터 마이멜로디와 크로미의 이미지 컬러를 활용했다. 특히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연속 립 메이크업 부문상위권을 차지하며 일본 시장에서 꾸준한 인기를 보이고 있다.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는 상큼한 컬러와 풍부한 광택이 특징이다.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특유의 광택감과 함께 부드럽게 펼쳐지는 텍스처의 제품이다. 아이섀도 카테고리 역시 1위부터 5위까지 K뷰티 제품이 차지하며 인기를 증명했다. ‘라카 포에버6 아이 팔레트’ ‘데이지크 아이섀도우 팔레트’ ‘롬앤 산리오 베러 댄 팔레트’ ‘데이지크 리퀴드 글리터’ ‘클리오 2022 베스트 아이 팔레트’ 등이다. ‘라카 포에버6 아이 팔레트’는 단색 메이크업에서 화려하고 인상적인 메이크업까지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데이지크 아이섀도우 팔레트’는 매트, 글리터 등 다양한 질감의 텍스처로 구성된 9색 팔레트로 여러 조합을 즐길 수 있다. ‘롬앤 산리오 베러 댄 팔레트’는 산리오와 콜라보로 귀여운 캐릭터들의 개성을 담은 컬러 팔레트다. 치크 카테고리는 1, 2위와 4, 5위가 K뷰티로 조사됐다. 판매량 기준 1위는 ‘페리페라 맑게 물든 선샤인 치크’가 차지했다. 2위에는 ‘데이지크 블렌딩 레이어 치크’가 이름을 올렸고, ‘뮤드 플러터 블러셔’, ‘라카 러브 실크 블러쉬’ 등도 큰 인기를 얻었다. ‘페리페라 맑게 물든 선샤인 치크’는 가루가 잘 날리지 않는다는 것과 파스텔톤의 발색력을 내세워 5월부터 8월까지 탑5에 진입했다. 또한 두 달 연속으로 치크 카테고리 랭킹 1위를 달성했다. ‘데이지크 블렌딩 레이어 치크’는 4단 레이어링으로 오렌지에서 핑크까지 자유롭게 블렌딩할 수 있다. 보디워시도 상위 5개 중 4개가 한국 브랜드로 나타났다. 1위는 ‘밀크바오밥 오리지널 헤어 바디케어 라인’이, 2위와 3위는 ‘썸바이미 미라클 아크네 클리어 바디클렌저’, ‘쿤달 퓨어 바디워시’가 차지했다. 5위에는 ‘메디큐브 레드 바디 2종 세트’가 올랐다. ‘밀크바오밥 오리지널 헤어 바디케어 라인’은 밀크 프로틴과 바오밥 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 ‘썸바이미 미라클 아크네 클리어 바디클렌저’는 세밀한 거품이 모공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각질 등을 깨끗하게 관리해준다. ‘쿤달 퓨어 바디워시’는 꿀 추출물과 알로에 베라 잎 즙을 활용해 보습력이 뛰어나다.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K뷰티 인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역직구 건수가 4049만 7000건으로, 2014년 집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 중 국가별로 일본 소비자들의 역직구가 2074만여 건으로 가장 많았다. 유튜브, 틱톡, OTT 서비스 등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됐고, 그만큼 한류에 열광하는 일본 세대가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큐텐재팬의 K뷰티 매출은 2022년 기준 2021년 대비 50% 성장했다. 이베이재팬 김양수 본부장은 "일본 내 한류 열풍이 전 연령대로 확산하고, 품목 역시 다양화되면서 K제품 인기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적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며 "올해 일본의 K제품 역직구 시장에선 프리미엄 제품, 팬덤 문화 관련 제품, 패션과 뷰티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최근 들어 일본 내 K뷰티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특히 온라인에서 메이크업 제품과 보디워시의 인기가 높다.
3일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립메이크업 판매량 1~5위 모두 한국 브랜드가 차지했다. 1위는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 2위는 ‘롬앤 산리오 듀이플 워터 틴트’로 조사됐다. 3~5위에는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 ‘페리페라 틴트 립’, ‘힌스 무드인핸서 워터 리퀴드 글로우’가 올랐다.
2위를 차지한 ‘롬앤 산리오 듀이플 워터 틴트’는 쉽게 마르지 않는 보습 유지 틴트로, 산리오의 인기 캐릭터 마이멜로디와 크로미의 이미지 컬러를 활용했다.
특히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연속 립 메이크업 부문상위권을 차지하며 일본 시장에서 꾸준한 인기를 보이고 있다.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는 상큼한 컬러와 풍부한 광택이 특징이다.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특유의 광택감과 함께 부드럽게 펼쳐지는 텍스처의 제품이다.
아이섀도 카테고리 역시 1위부터 5위까지 K뷰티 제품이 차지하며 인기를 증명했다. ‘라카 포에버6 아이 팔레트’ ‘데이지크 아이섀도우 팔레트’ ‘롬앤 산리오 베러 댄 팔레트’ ‘데이지크 리퀴드 글리터’ ‘클리오 2022 베스트 아이 팔레트’ 등이다.
‘라카 포에버6 아이 팔레트’는 단색 메이크업에서 화려하고 인상적인 메이크업까지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데이지크 아이섀도우 팔레트’는 매트, 글리터 등 다양한 질감의 텍스처로 구성된 9색 팔레트로 여러 조합을 즐길 수 있다. ‘롬앤 산리오 베러 댄 팔레트’는 산리오와 콜라보로 귀여운 캐릭터들의 개성을 담은 컬러 팔레트다.
치크 카테고리는 1, 2위와 4, 5위가 K뷰티로 조사됐다. 판매량 기준 1위는 ‘페리페라 맑게 물든 선샤인 치크’가 차지했다. 2위에는 ‘데이지크 블렌딩 레이어 치크’가 이름을 올렸고, ‘뮤드 플러터 블러셔’, ‘라카 러브 실크 블러쉬’ 등도 큰 인기를 얻었다.
‘페리페라 맑게 물든 선샤인 치크’는 가루가 잘 날리지 않는다는 것과 파스텔톤의 발색력을 내세워 5월부터 8월까지 탑5에 진입했다. 또한 두 달 연속으로 치크 카테고리 랭킹 1위를 달성했다. ‘데이지크 블렌딩 레이어 치크’는 4단 레이어링으로 오렌지에서 핑크까지 자유롭게 블렌딩할 수 있다.
보디워시도 상위 5개 중 4개가 한국 브랜드로 나타났다. 1위는 ‘밀크바오밥 오리지널 헤어 바디케어 라인’이, 2위와 3위는 ‘썸바이미 미라클 아크네 클리어 바디클렌저’, ‘쿤달 퓨어 바디워시’가 차지했다. 5위에는 ‘메디큐브 레드 바디 2종 세트’가 올랐다.
‘밀크바오밥 오리지널 헤어 바디케어 라인’은 밀크 프로틴과 바오밥 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
‘썸바이미 미라클 아크네 클리어 바디클렌저’는 세밀한 거품이 모공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각질 등을 깨끗하게 관리해준다. ‘쿤달 퓨어 바디워시’는 꿀 추출물과 알로에 베라 잎 즙을 활용해 보습력이 뛰어나다.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K뷰티 인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역직구 건수가 4049만 7000건으로, 2014년 집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 중 국가별로 일본 소비자들의 역직구가 2074만여 건으로 가장 많았다.
유튜브, 틱톡, OTT 서비스 등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됐고, 그만큼 한류에 열광하는 일본 세대가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큐텐재팬의 K뷰티 매출은 2022년 기준 2021년 대비 50% 성장했다.
이베이재팬 김양수 본부장은 "일본 내 한류 열풍이 전 연령대로 확산하고, 품목 역시 다양화되면서 K제품 인기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적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며 "올해 일본의 K제품 역직구 시장에선 프리미엄 제품, 팬덤 문화 관련 제품, 패션과 뷰티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3일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립메이크업 판매량 1~5위 모두 한국 브랜드가 차지했다. 1위는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 2위는 ‘롬앤 산리오 듀이플 워터 틴트’로 조사됐다. 3~5위에는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 ‘페리페라 틴트 립’, ‘힌스 무드인핸서 워터 리퀴드 글로우’가 올랐다.
2위를 차지한 ‘롬앤 산리오 듀이플 워터 틴트’는 쉽게 마르지 않는 보습 유지 틴트로, 산리오의 인기 캐릭터 마이멜로디와 크로미의 이미지 컬러를 활용했다.
특히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 연속 립 메이크업 부문상위권을 차지하며 일본 시장에서 꾸준한 인기를 보이고 있다. ‘라카 프루티 글램 틴트’는 상큼한 컬러와 풍부한 광택이 특징이다. ‘라카 본딩 글로우 립스틱’은 특유의 광택감과 함께 부드럽게 펼쳐지는 텍스처의 제품이다.
아이섀도 카테고리 역시 1위부터 5위까지 K뷰티 제품이 차지하며 인기를 증명했다. ‘라카 포에버6 아이 팔레트’ ‘데이지크 아이섀도우 팔레트’ ‘롬앤 산리오 베러 댄 팔레트’ ‘데이지크 리퀴드 글리터’ ‘클리오 2022 베스트 아이 팔레트’ 등이다.
‘라카 포에버6 아이 팔레트’는 단색 메이크업에서 화려하고 인상적인 메이크업까지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데이지크 아이섀도우 팔레트’는 매트, 글리터 등 다양한 질감의 텍스처로 구성된 9색 팔레트로 여러 조합을 즐길 수 있다. ‘롬앤 산리오 베러 댄 팔레트’는 산리오와 콜라보로 귀여운 캐릭터들의 개성을 담은 컬러 팔레트다.
치크 카테고리는 1, 2위와 4, 5위가 K뷰티로 조사됐다. 판매량 기준 1위는 ‘페리페라 맑게 물든 선샤인 치크’가 차지했다. 2위에는 ‘데이지크 블렌딩 레이어 치크’가 이름을 올렸고, ‘뮤드 플러터 블러셔’, ‘라카 러브 실크 블러쉬’ 등도 큰 인기를 얻었다.
‘페리페라 맑게 물든 선샤인 치크’는 가루가 잘 날리지 않는다는 것과 파스텔톤의 발색력을 내세워 5월부터 8월까지 탑5에 진입했다. 또한 두 달 연속으로 치크 카테고리 랭킹 1위를 달성했다. ‘데이지크 블렌딩 레이어 치크’는 4단 레이어링으로 오렌지에서 핑크까지 자유롭게 블렌딩할 수 있다.
보디워시도 상위 5개 중 4개가 한국 브랜드로 나타났다. 1위는 ‘밀크바오밥 오리지널 헤어 바디케어 라인’이, 2위와 3위는 ‘썸바이미 미라클 아크네 클리어 바디클렌저’, ‘쿤달 퓨어 바디워시’가 차지했다. 5위에는 ‘메디큐브 레드 바디 2종 세트’가 올랐다.
‘밀크바오밥 오리지널 헤어 바디케어 라인’은 밀크 프로틴과 바오밥 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
‘썸바이미 미라클 아크네 클리어 바디클렌저’는 세밀한 거품이 모공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각질 등을 깨끗하게 관리해준다. ‘쿤달 퓨어 바디워시’는 꿀 추출물과 알로에 베라 잎 즙을 활용해 보습력이 뛰어나다.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K뷰티 인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역직구 건수가 4049만 7000건으로, 2014년 집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이 중 국가별로 일본 소비자들의 역직구가 2074만여 건으로 가장 많았다.
유튜브, 틱톡, OTT 서비스 등의 확산으로 한국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됐고, 그만큼 한류에 열광하는 일본 세대가 넓어졌다고 할 수 있다. 큐텐재팬의 K뷰티 매출은 2022년 기준 2021년 대비 50% 성장했다.
이베이재팬 김양수 본부장은 "일본 내 한류 열풍이 전 연령대로 확산하고, 품목 역시 다양화되면서 K제품 인기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적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며 "올해 일본의 K제품 역직구 시장에선 프리미엄 제품, 팬덤 문화 관련 제품, 패션과 뷰티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