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NOTES for MANAGEMENT: 2023년 03월 뷰티누리트렌드모니터
이충욱 기자 | culee@beautynury.com 플러스아이콘
입력 2023-03-22 06:00 수정 2024-07-17 07:12



동물복지 진정성

동물을 이용하지 않는 화장품 안전성 평가를 증진하는 글로벌 협의체 'ICCS(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Cosmetics Safety)'가 2023년 2월 출범했다.  유럽•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35개 글로벌 뷰티 기업과 관련 기관이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3개 기업과 1개 기관이 참여하는 반면 한국 기업과 기관은 명단에서 찾아볼 수 없다.  ICCS 출범에 K뷰티가 전격 불참하면서 환경과 동물복지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받고 있다.

미국도 RP

2023년 1월 시행된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은 1938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권한을 대폭 강화한 법이다.  MoCRA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화장품과 제조시설 등록을 강제하고, 제조시설을 감시•감독할 수 있게 했다.  무엇보다도 화장품 부작용을 기록•보고할 의무가 있는 법적 책임자(Responsible Person, RP) 제도가 도입되면서 이와 관련한 강제적 회수 명령권과 자료 접근 권한도 FDA에 부여됐다.

775억엔, 첫 1위

일본에서 호실적을 누리고 있는 K뷰티가 2022년 일본에서 가장 많이 수입된 외국 화장품으로 집계됐다.  한국 화장품 수입이 일본에서 연간 통계로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수입화장품협회가 2023년 2월 발표한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일본의 화장품 총 수입액은 전년비 20.5% 증가한 3318억2000만엔으로 나타났다.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775억3000만엔으로 점유율 23.4%를 차지하며 1위에 등극했다.

57%

온라인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해외 직구도 적극 이용하면서 '국경'이라는 물리적 존재감이 줄어드는 추세다.  포브스 어드바이저가 2023년 2월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온라인 소비자의 57%가 해외 직구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본인이 속한 지역이나 국가에서 원하는 물건을 찾지 못하는 경우에 절반 이상은 해외로 눈을 돌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브스는 "고객의 물리적 위치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고 제언했다.

PLA 브레이크

친환경 소재로 알려진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사용에도 제동이 걸렸다.  대만 정부는 2023년 8월부터 소매점포 등에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의 일회용 식기 사용을 금지한다고 2023년 2월 발표했다.  대만은 1991년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식기 사용을 금지해왔다.  업계에선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대체했으나 정부는 그마저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분야에까지 규제가 확대될 여지도 내비쳤다.

장바구니 포기

배송비와 수수료 등의 추가 비용이 온라인 소비자가 장바구니를 포기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스태티스타 자료를 분석한 포브스 어드바이저가 2023년 2월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온라인 소비자의 절반(48%)이 배송비, 세금, 수수료와 같은 추가 비용으로 장바구니를 이탈했다고 답했다.  이어 계정 생성 요구(24%), 느린 배송(22%), 결제 사이트에 대한 신뢰 부족(18%), 복잡한 체크아웃 과정(17%)이 지적됐다.

구매 채널, 미국 vs 일본

K뷰티가 미국과 일본 시장에서 단기적으로는 오프라인, 중장기적으론 온•오프라인 양쪽에 힘을 써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오픈서베이가 2023년 2월 발표한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2059 여성의 뷰티 구매 채널 상위 3곳은 모두 오프라인으로 대형마트•창고형 할인매장, H&B 스토어, 뷰티 전문 편집매장 순이었다.  일본의 경우 오프라인 H&B 스토어가 1순위고 이어 온라인 오픈마켓, 온라인 브랜드 웹사이트•앱이었다.

디지털 쇼핑객 2023

유로모니터는 디지털 쇼핑객의 5대 특징으로 △온라인 절약가 △크라우드소싱 창작 △이-커스터마이징 △게임 체인저 △오감 디지털 쇼핑을 2023년 2월 제시했다.  소비 절약을 겨냥한 디지털 플랫폼이 성장하고, 소비자는 소셜미디어로 브랜드 혁신에 참여한다.  진화된 온라인 개인화는 디지털 쇼핑 경험을 유지하고, 리워드 등의 게임 요소로 참여를 독려한다.  또한 브랜드는 모든 감각으로 느끼는 디지털 경험을 제공한다.

750위안

중국 뷰티 전문매체 웨이라이지는 2023년 2월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텐센트 마케팅 인사이트(TMI)가 발표한 '2022 중국 하이엔드 뷰티시장 디지털 트렌드 인사이트 보고서' 자료를 인용, 중국 시장에서 '하이엔드 스킨케어'로 정의하는 화장품 판매 가격은 에센스(精华)와 페이셜크림(面霜)의 경우 750위안 이상, 아이에센스(眼部精华)와 아이크림(眼霜)은 500위안 이상, 기타 제품은 300위안 이상이라고 언급했다.

Lipstick Effect US

미국 시장에서 색조화장품 가격이 인플레이션율보다 높게 인상됐음에도 매출이 꺾이지 않고 오히려 눈에 띄게 증가하는 양상이 관측됐다.  소비자정보기관 카탈리나의 2023년 2월 관련 보고서는 페이스 메이크업, 아이 메이크업, 립스틱의 2023년 1월 가격이 전년대비 각각 11%, 12%, 7% 올랐음에도 매출실적은 각각 40%, 18%, 43% 증가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립스틱 효과가 실제로 눈앞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전체댓글 0개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