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관객들의 호불호가 갈리는 영화들이 있다. 전문가들의 비평을 논외로 한다면, 그것은 영화에 대한 관객들 각자의 기대가 달랐다는 말과도 상통한다. 배꼽 빠지는 코미디인 줄 알았는데 눈물 쏙 빼는 멜로드라마였다든가, 좋아하는 배우가 주연인 줄 알았더니 주연급 조연 정도였다든가 하면 영화에 대한 평가는 전체적인 완성도와 관계 없이 야박해지고 만다. 특히 영화관람료가 오르고, OTT가 인기를 끌면서 관객들이 더욱 까다롭게 영화를 선택하고 있는 요즘, 기대심리는 감상평과 직결된다. 때문에 만족스럽게 영화관을 나오려면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 선에서) 영화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아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영화에 대한 정보란 내용이나 장르, 감독이나 출연자처럼 기본적인 것들을 넘어선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영화의 핵심적인 견인 포인트가 무엇인가, 즉 어디에 방점을 두고 만들어졌는가를 아는 것이다. 물론 꼭 개봉일에 영화를 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런 정보의 수신자가 아니라 발신자가 되어야겠지만. ![]() 삽입곡의 태생이야 뭐가 됐든 ‘뮤지컬’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객들의 인식은 대개 ‘음악’과 ‘춤’이 중요한 관전포인트라는 데 있을 것이다. 멋진 노래와 춤이야말로 뮤지컬 영화의 질을 격상시키고 관객들을 실망시키지 않을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생은 아름다워’의 초점은 다른 곳에 맞춰져 있다. 주연을 맡은 류승룡, 염정아의 노래와 춤 실력은 매우 평범한 수준이며, 그 수준에 맞추었기 때문인지 편곡이나 안무도 소박하기만 하다. 대신 ‘인생은 아름다워’의 강점은 웃기고 울리는 드라마에 있다. 노래와 춤에 일가견이 없음에도 류승룡, 염정아 배우를 캐스팅 한 것은 이들이 폭넓은 감정을 잘 소화해낼 수 있는 뛰어난 연기자들이기 때문이며, 실제로 이들의 20년차 부부 연기는 그리 흠잡을 데가 없다. 덕분에 시한부 인생 선고를 받은 아내와 무뚝뚝한 남편의 여행, 그리고 가족들이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 등 서사에 몰입한 관객들에게 이 영화는 꽤 진한 감동을 남긴다. 그렇다면 왜 이 영화는 뮤지컬로 만들어져야 했을까? 여러 가지 의도를 찾을 수 있겠지만 여기서 주목해 보고 싶은 것은 삽입곡들의 가사다. ‘조조할인’, ‘알 수 없는 인생’, ‘잠도 오지 않는 밤에’, ‘아이스크림 사랑’ 등 4050 세대들에게 익숙한 가요들은 적재적소에 삽입되어 인물들의 감정을 뒷받침하는 내래이션 혹은 대사로 사용되고 있다. 특정 장면에 더할 나위 없이 잘 들어맞는 가사가 매칭되었을 때 느껴지는 신기함과 놀라움은 일부 영화에 대한 만족과 감동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가사에 무게를 실은 주크박스 뮤지컬’ 정도로 ‘인생은 아름다워’를 소개한다면 관객의 기대치와 감상평의 편차는 좁혀지지 않을까. ![]() |
유독 관객들의 호불호가 갈리는 영화들이 있다. 전문가들의 비평을 논외로 한다면, 그것은 영화에 대한 관객들 각자의 기대가 달랐다는 말과도 상통한다. 배꼽 빠지는 코미디인 줄 알았는데 눈물 쏙 빼는 멜로드라마였다든가, 좋아하는 배우가 주연인 줄 알았더니 주연급 조연 정도였다든가 하면 영화에 대한 평가는 전체적인 완성도와 관계 없이 야박해지고 만다.
특히 영화관람료가 오르고, OTT가 인기를 끌면서 관객들이 더욱 까다롭게 영화를 선택하고 있는 요즘, 기대심리는 감상평과 직결된다. 때문에 만족스럽게 영화관을 나오려면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 선에서) 영화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아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영화에 대한 정보란 내용이나 장르, 감독이나 출연자처럼 기본적인 것들을 넘어선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영화의 핵심적인 견인 포인트가 무엇인가, 즉 어디에 방점을 두고 만들어졌는가를 아는 것이다. 물론 꼭 개봉일에 영화를 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런 정보의 수신자가 아니라 발신자가 되어야겠지만.
지난해 9월 개봉한 ‘인생은 아름다워’(감독 최국희)에는 한국 상업영화로서는 최초로 시도된 뮤지컬 영화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내용이 전혀 다르므로 한국판 ‘라라랜드’(감독 데미언 셔젤)라는 말은 장르의 유사성 하나만 따서 붙인 홍보성 문구인데, 그마저도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라라랜드’의 삽입곡들은 영화를 위해 새로 작곡한 것이고, ‘인생은 아름다워’의 삽입곡들은 기존 대중음악에서 선곡한 것으로, 후자는 ‘주크박스 뮤지컬’로 불리기도 한다. 즉, 아바의 노래들로 만든 ‘맘마미아’(감독 필리다 로이드)가 성격상 ‘인생은 아름다워’와 훨씬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삽입곡의 태생이야 뭐가 됐든 ‘뮤지컬’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객들의 인식은 대개 ‘음악’과 ‘춤’이 중요한 관전포인트라는 데 있을 것이다. 멋진 노래와 춤이야말로 뮤지컬 영화의 질을 격상시키고 관객들을 실망시키지 않을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생은 아름다워’의 초점은 다른 곳에 맞춰져 있다. 주연을 맡은 류승룡, 염정아의 노래와 춤 실력은 매우 평범한 수준이며, 그 수준에 맞추었기 때문인지 편곡이나 안무도 소박하기만 하다.
대신 ‘인생은 아름다워’의 강점은 웃기고 울리는 드라마에 있다. 노래와 춤에 일가견이 없음에도 류승룡, 염정아 배우를 캐스팅 한 것은 이들이 폭넓은 감정을 잘 소화해낼 수 있는 뛰어난 연기자들이기 때문이며, 실제로 이들의 20년차 부부 연기는 그리 흠잡을 데가 없다. 덕분에 시한부 인생 선고를 받은 아내와 무뚝뚝한 남편의 여행, 그리고 가족들이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 등 서사에 몰입한 관객들에게 이 영화는 꽤 진한 감동을 남긴다.
그렇다면 왜 이 영화는 뮤지컬로 만들어져야 했을까? 여러 가지 의도를 찾을 수 있겠지만 여기서 주목해 보고 싶은 것은 삽입곡들의 가사다. ‘조조할인’, ‘알 수 없는 인생’, ‘잠도 오지 않는 밤에’, ‘아이스크림 사랑’ 등 4050 세대들에게 익숙한 가요들은 적재적소에 삽입되어 인물들의 감정을 뒷받침하는 내래이션 혹은 대사로 사용되고 있다. 특정 장면에 더할 나위 없이 잘 들어맞는 가사가 매칭되었을 때 느껴지는 신기함과 놀라움은 일부 영화에 대한 만족과 감동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가사에 무게를 실은 주크박스 뮤지컬’ 정도로 ‘인생은 아름다워’를 소개한다면 관객의 기대치와 감상평의 편차는 좁혀지지 않을까.
특히 영화관람료가 오르고, OTT가 인기를 끌면서 관객들이 더욱 까다롭게 영화를 선택하고 있는 요즘, 기대심리는 감상평과 직결된다. 때문에 만족스럽게 영화관을 나오려면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 선에서) 영화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아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영화에 대한 정보란 내용이나 장르, 감독이나 출연자처럼 기본적인 것들을 넘어선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영화의 핵심적인 견인 포인트가 무엇인가, 즉 어디에 방점을 두고 만들어졌는가를 아는 것이다. 물론 꼭 개봉일에 영화를 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런 정보의 수신자가 아니라 발신자가 되어야겠지만.
![](/data/editor/1678932494_인생은 아름다워.jpg)
삽입곡의 태생이야 뭐가 됐든 ‘뮤지컬’이라는 장르에 대한 관객들의 인식은 대개 ‘음악’과 ‘춤’이 중요한 관전포인트라는 데 있을 것이다. 멋진 노래와 춤이야말로 뮤지컬 영화의 질을 격상시키고 관객들을 실망시키지 않을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생은 아름다워’의 초점은 다른 곳에 맞춰져 있다. 주연을 맡은 류승룡, 염정아의 노래와 춤 실력은 매우 평범한 수준이며, 그 수준에 맞추었기 때문인지 편곡이나 안무도 소박하기만 하다.
대신 ‘인생은 아름다워’의 강점은 웃기고 울리는 드라마에 있다. 노래와 춤에 일가견이 없음에도 류승룡, 염정아 배우를 캐스팅 한 것은 이들이 폭넓은 감정을 잘 소화해낼 수 있는 뛰어난 연기자들이기 때문이며, 실제로 이들의 20년차 부부 연기는 그리 흠잡을 데가 없다. 덕분에 시한부 인생 선고를 받은 아내와 무뚝뚝한 남편의 여행, 그리고 가족들이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 등 서사에 몰입한 관객들에게 이 영화는 꽤 진한 감동을 남긴다.
그렇다면 왜 이 영화는 뮤지컬로 만들어져야 했을까? 여러 가지 의도를 찾을 수 있겠지만 여기서 주목해 보고 싶은 것은 삽입곡들의 가사다. ‘조조할인’, ‘알 수 없는 인생’, ‘잠도 오지 않는 밤에’, ‘아이스크림 사랑’ 등 4050 세대들에게 익숙한 가요들은 적재적소에 삽입되어 인물들의 감정을 뒷받침하는 내래이션 혹은 대사로 사용되고 있다. 특정 장면에 더할 나위 없이 잘 들어맞는 가사가 매칭되었을 때 느껴지는 신기함과 놀라움은 일부 영화에 대한 만족과 감동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가사에 무게를 실은 주크박스 뮤지컬’ 정도로 ‘인생은 아름다워’를 소개한다면 관객의 기대치와 감상평의 편차는 좁혀지지 않을까.
![](/data/editor/1678932581_1676363823_xccxxxcxcx.jpg)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