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가 초일류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민간 주도형 안전 관리 체계의 단계적 도입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화장품협회는 13일 "화장품 기업의 안전관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하기 위해선 현재 어린이용 화장품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제품별 안전성 자료’의 작성‧보관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함으로써 규제의 안정적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능성 화장품 등 정부 주도하에 있는 제도를 한꺼번에 폐지하기보다는 영향력이 작은 부문부터 차례로 민간자율규제로 넘기자는 것이다. 화장품의 안전성이 기업의 자율규제로 전환되는 것은 의약품과는 달리 인체의 피부·모발에 사용하는 물품으로 인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까지 치명적인 위해 사례가 발생한 기록은 없다. 우리나라도 2012년 원료의 네거티브제 도입에 따라 제품의 안전 책임이 기업에게로 넘어왔으나 기능성화장품 심사 등 정부 중심의 관리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
K뷰티가 초일류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민간 주도형 안전 관리 체계의 단계적 도입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화장품협회는 13일 "화장품 기업의 안전관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하기 위해선 현재 어린이용 화장품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제품별 안전성 자료’의 작성‧보관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함으로써 규제의 안정적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화장품의 안전성이 기업의 자율규제로 전환되는 것은 의약품과는 달리 인체의 피부·모발에 사용하는 물품으로 인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까지 치명적인 위해 사례가 발생한 기록은 없다.
우리나라도 2012년 원료의 네거티브제 도입에 따라 제품의 안전 책임이 기업에게로 넘어왔으나 기능성화장품 심사 등 정부 중심의 관리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대한화장품협회는 13일 "화장품 기업의 안전관리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하기 위해선 현재 어린이용 화장품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제품별 안전성 자료’의 작성‧보관 의무화를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함으로써 규제의 안정적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능성 화장품 등 정부 주도하에 있는 제도를 한꺼번에 폐지하기보다는 영향력이 작은 부문부터 차례로 민간자율규제로 넘기자는 것이다.
민간 주도형 안전 관리 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자는 이유는 기업의 준비 부족 때문이다. 현재 국내 기업은 사용하고 있는 원료에 대한 안전성 자료가 미흡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전문인력도 없는 상황이다.
화장품협회는 "정부는 ‘기존 원료들에 대한 안전성 자료 DB 구축’ 및 ‘화장품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장품 안전 관리는 기업의 자율규제로 가는 것이 글로벌 추세다. 유럽 미국 등의 경우 정부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 및 사용 제한 원료 지정을 하고 이와 관련된 안전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밖의 화장품의 안전 책임은 기업에 일임하고 있는 상태다.
화장품의 안전성이 기업의 자율규제로 전환되는 것은 의약품과는 달리 인체의 피부·모발에 사용하는 물품으로 인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까지 치명적인 위해 사례가 발생한 기록은 없다.
우리나라도 2012년 원료의 네거티브제 도입에 따라 제품의 안전 책임이 기업에게로 넘어왔으나 기능성화장품 심사 등 정부 중심의 관리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