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도 화장품산업의 체질과 환경에 맞는 제도와 정책 변화가 빠르게 전개됐다. 원료목록 사전보고 체계로 전환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신고제 도입 천연·유기농화장품 인증제 도입 기능성화장품 심사청구권자 확대 및 표시개선 원료의 안전성 검증 및 기준 변경 가능 소비자화장품안전감시원 제도 도입 화장품 업종 분류 개편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수출·입 시 중복허가 개선 |
[2018 부문별 결산] ⑥ 행정·제도·법규 글로벌 화장품산업의 선제적 제도 마련
맞춤형화장품 판매업 신고제, 소비자화장품안전감시원 제도 도입 등
방석현 기자 |
sj@beautynury.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입력시간 : 2018-12-31 06:46
최종수정: 2018-12-31 06:46
![]() |
![]() |
![]() |
![]() |
![]() |
뷰티누리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
![]() |
![]() |
![]() |
![]() |
댓글 개
숨기기
독자의견(댓글)을 달아주세요.
-
오랜 화장품 사업 노하우로 ‘진실된 제품’ 만든다
-
[분석]3분기 화장품기업 순이익 평균 71억원 전년비 31.8%↑
-
시세이도 등 日 기업들 탈 플라스틱화 가속
-
[분석]3분기 화장품기업 판관비 평균 466억원 전년비 9.9%↑
-
‘글로벌 인기’ K뷰티, 수출 확대 공로 인정
-
올리브영, 동남아 전역에 K뷰티 전파 나선다
-
[분석]3분기 화장품기업 영업이익 평균 98억원 전년비 16.1%↑
-
R&D 강점, 연구원 출신 화장품사 대표들 '잘나가네'
-
국내 화장품산업 성장, 온라인·H&B가 이끈다
-
지금까지 이런 샴푸는 없었다! 용기(容器) 없는..